도서 상세페이지

KDC : 189
도서 기억 안아주기 : 소확혐, 작지만 확실히 나쁜 기억
marc 보기

소장정보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신청
SM0000083918 시립 종합자료실 대출가능 - 예약불가 상호대차

상세정보

소확혐, 작지만 확실히 나쁜 기억이 주는 두려움 우리는 어떻게 나쁜 기억에서 벗어날 수 있는가 ‘좋은 경험하기’와 ‘좋은 기억으로 왜곡하기’가 주는 망각의 기술『기억 안아주기』. 이 책은 작지만 확실히 나쁜 기억’에 대해 다룬다. 어릴 적 버섯처럼 미끌거리는 식감이 별로였던 걸 경험한 아이들은 평생 그 음식을 멀리하며, 학교 화장실에서 볼일을 봤다가 놀림당한 아이들은 그 상처가 기억에 뿌리를 내려 회사나 공중화장실에서는 큰일을 보지 못한다. 거절을 많이 당한 사람은 특정 상황에서 올바른 판단과 결정을 내리려 해도 뇌가 거절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머뭇거리고 행동하지 못하게 붙들어둔다. 나쁜 기억은 이상하게 잘 잊히지 않는다. 나이 들수록 기억력은 약해지건만, 안 좋은 기억만큼은 어제 일처럼 초롱초롱하다. 두려움의 기억은 편도체가 담당하는데, 그곳에 새겨진 기억은 잊으려 노력해서 더 안 잊히고, 자잘한 꼬리 기억인 주제에 몸통을 흔들어 좋은 판단을 하는 데 그르치는 역할을 한다. 뇌와 꼬리는 가장 멀리 떨어져 있지만 매우 강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꼬리(편도체)가 머리 행세(전전두엽)를 하곤 한다. 저자는 진료실에서 아이들의 기억에 관여하는 부모들을 만나면서 기억이 어떻게 아이들에게 신체 증상과 통증으로 나타나는지를 간파한다. 사람들은 몸이 아프고 괴로워서 병원을 방문하지만, 저자는 나쁜 기억을 좋은 기억으로 덮어버림으로써 몸과 일상이 회복될 수 있음을 이야기한다. 어린 시절의 기억은 성인이 되어서도 반복적으로 떠올라 똑같은 일상이 누구에게는 행복으로, 또 다른 누구에게는 불행으로 각인되고, 새로운 도전에 맞닥뜨려서도 두려움과 호기심이라는 상반된 반응을 나타내게 한다. 젊어서 전전두엽을 충분히 이용하고 좋은 경험을 많이 한 치매 환자는 순하고 ‘예쁜 치매’로 가는 반면, 나쁜 기억에 집착하고 불안에 사로잡힌 치매 환자는 화를 잘 내는 ‘미운 치매’로 간다고 한다. ‘나쁜 기억’을 연구한 저자는 기억을 잃어버리는 건망증과 인지 장애를 앓더라도 나쁜 기억은 끝끝내 살아남는다고 말한다.

Marc 보기

시설이용현황
리더 00763pam a2200277 c 4500
TAG IND 내용
001 KMO202101310
005 20210307095652
007 ta
008 201106s2020 ggkad 000 kor
020 9788967358372 03180: \18000
023 CIP2020047212
035 (146175)KMO202005995 UB20200757748
040 146175 146175 011001 148100
056 189 26
090 189 205
245 00 기억 안아주기 : 소확혐, 작지만 확실히 나쁜 기억 / 최연호 지음
260 파주 : 글항아리, 2020
300 366 p. : 삽화, 도표 ; 20 cm
504 참고문헌 수록: p. 355-366
650 8 응용 심리학 기억
653 기억 안아주기 소확혐 작지 확실히 두려움 좋은 기억 경험 왜곡 망각 회피 치유
700 1 최연호, 1964-, 崔然皓
950 0 \18000
049 0 SM00000839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