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상세페이지

KDC : 814.7
도서 외로운 사람끼리 배추적을 었다 : 김서령이 남긴 '조선 엄마의 레시피'
marc 보기

소장정보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신청
000000050128 욕지 종합자료실 대출가능 - 예약불가 상호대차

상세정보

“한 사람이 가고 한 문장이 지다” 김서령이 남긴 영롱한 ‘인생 레시피’ 빛나되 눈부시지 않은 ‘서령체’ 이 책은 한 문장가가 세상에 흩뿌린 마지막 광휘이고, 한편으로는 그를 위한 기념비이기도 하다. 지난해 10월 세상을 떠난 김서령이 그간 음식과 관련해 썼던 글을 그러모은 그의 투병 막바지에서였다. 문학평론가 염무웅 선생의 말씀대로 “보석처럼 반짝이는 조각글”이 흩어져 사라져 가는 것을 막기 위해 시작된 편집은 그러나 안타깝게도 김서령의 인간 됨됨이를 그리워하고 김서령의 글을 아끼는 이들을 위한 일종의 유고집이 되고 말았다. 해서 통상적인 ‘머리말’ 대신 그의 글 중 한 편이 앞자리를 차지한 파격으로 구성된 이 책에서 눈여겨보기를 당부하고 싶은 것은 김서령의 글 자체이다. 형용사 하나 허투루 쓰지 않는 그의 글솜씨는 ‘서령체’라 불릴 정도로 자기만의 빛깔을 빚어내서다. 《여자전》 등 그의 전작들이 글에 관심이 있는 이들에게서 많은 아낌을 받은 이유다. 염무웅 선생은 그의 글을 두고 “읽을 때마다 예민한 감각과 풍부한 어휘와 생생한 비유에 감탄했고 글이 만들어내는 삶의 진실에 전율 했어요”(7쪽)라고 했다. 그러면서 “안동 지방 양반가의 내실 풍속과 사랑채 역사를, 그들만의 독특한 언어와 감정세계를 속속들이 알고 손에 잡힐 듯 묘사하는 작가를 이제 우리 문학은 어디서 찾아야 하나요”라고 아쉬워했다. 자청해서 추천사를 써준 심리기획자 이명수 선생도 “당대의 문장가란 수식을 넘어서는 치유적 힘이 그녀의 글에 있었다”고 추모하면서 “내밀한 끌림이 있고 읽으면 단정해지고 맑아졌다. 문장이 단순한 기술이 아니라 글의 모든 것일 수 있다는 사실을 김서령을 통해 알았다”고 고백했다. 그만큼 한 꼭지도 버릴 수 없고, 한 구절도 흘려보내기 아까운, 일단 한 편만 읽는다면 놓을 수 없는 음식 에세이, 그 이상의 에세이이다. 또한 잊혀져가는 고향의 정취를 되살려낸 일종의 풍물지이기도 하고, 삶의 지혜가 얼비치는 인생론이기도 하며 빛나되 눈부시지 않은 문장 전범이고 한 책이다.

Marc 보기

시설이용현황
리더 00722nam a2200265 c 4500
TAG IND 내용
001 KBO202100040
005 20210216140101
007 ta
008 190211s2019 ulka 000 e kor
020 9791156121299 03810: \15000
035 (141517)KMO201901361 UB20190021025
040 141517 141517 011001 148044
052 01 814.7 19-92
056 814.7 26
082 01 895.745 223
090 814.7 김54외
245 00 외로운 사람끼리 배추적을 먹었다 : 김서령이 남긴 '조선 엄마의 레시피' / 김서령 지음
260 서울 : 푸른역사, 2019
300 268 p. : 천연색삽화 ; 22 cm
650 8 한국 현대 수필
653 외로운 사람끼리 배추적 먹었 김서령 조 엄마 레시피
700 1 김서령, 金瑞鈴
950 0 \15000
049 0 000000050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