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상세페이지

KDC : 712
도서 창씨개명된 우리 풀꽃 : 잘못된 이름으로 불리는 우리 풀꽃 속의 일제 잔재
  • 저자사항 이윤옥 지음
  • 발행사항 서울 : 인물과사상사, 2015
  • 형태사항 250 p. : 천연색삽화, 초상 ; 21 cm
  • 일반노트 권말부록: 『조선식물향명집』의 일본어 이름에 '탐라タンナ(탐나)'와 '제주サイシュ(사이슈)'가 들어 있는 것 등
  • ISBN 9788959063567
  • 주제어/키워드 창씨개명된 풀꽃 잘못된 이름 불리 속의 일제 잔재
  • ㆍ소장기관 통영시립충무도서관(죽림)
marc 보기

소장정보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신청
HM0000059198 충무 종합자료실 대출가능 - 예약불가 상호대차

상세정보

광복 70주년, 하지만 아직도 우리 풀꽃에는 일제의 흔적이 남아있다! 큰개불알꽃, 며느리밑씻개, 도둑놈의 갈고리, 좀개갓냉이. 왜 우리 풀꽃의 이름은 그 생김새가 연상되지 않을 뿐더러, 때때로 불쾌하고 저속하기까지 할까? 이는 바로 일제강점기 식민지 수탈의 일환으로 일본인들이 한반도의 식물을 채집하고 이름 붙이면서 시작된 수난이다. 창씨개명은 사람만이 당한 것이 아니었다. 우리 산과 들에는 아직도 일제의 흔적이 남아 있다. 『창씨개명된 우리 풀꽃』은 일제의 의해 아픔을 겪었던 우리 풀꽃 이름의 속사정을 드러내는 책이다. 저자는 이 문제에 충분히 관심을 기울이지 않고 있는 정부 및 관련 기관을 비판하며, 이제라도 일제 잔재가 남아 있는 풀꽃 이름을 대대로 정리할 것을 촉구한다. 일제의 흔적이 강하게 남은 것들에 대해서는 유래라도 밝혀주는 것, 그것이 광복 70주년을 맞는 바른 자세가 아닐까?

Marc 보기

시설이용현황
리더 00851pam a2200313 c 4500
TAG IND 내용
001 KMO201904114
005 20191128145412
007 ta
008 151217s2015 ulkac 000 kor
020 9788959063567 03710: \14000
023 CIP2015021390
035 UB20150184882
040 148055 148055 148238
052 01 712 15-9
056 712 26
082 01 495.72 223
090 712 이66창
245 00 창씨개명된 우리 풀꽃 : 잘못된 이름으로 불리는 우리 풀꽃 속의 일제 잔재 / 이윤옥 지음
260 서울 : 인물과사상사, 2015
300 250 p. : 천연색삽화, 초상 ; 21 cm
500 권말부록: 『조선식물향명집』의 일본어 이름에 '탐라タンナ(탐나)'와 '제주サイシュ(사이슈)'가 들어 있는 것 등
504 참고문헌: p. 248-
650 8 풀꽃 이름 한국어 어원
653 창씨개명된 풀꽃 잘못된 이름 불리 속의 일제 잔재
700 1 이윤옥
950 0 \14000
049 0 HM00000591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