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상세페이지

KDC : 331.1
도서 협력사회 : 전쟁은 어떻게 협력과 평등을 가능하게 했는가
marc 보기

소장정보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신청
SM0000073621 시립 종합자료실 대출가능 - 예약불가 상호대차

상세정보

인간은 어떻게 협력하는 능력을 발전시켜왔을까? 작은 마을에서부터 도시나 국가에 이르기까지, 큰 무리를 지어 낯선 사람들과 협력할 줄 아는 인간의 능력인 ‘초사회성(ultrasociality)’ 어떻게 진화해왔는지 그 이유를 밝혀냄으로써 인간사회의 역사를 설명하는 『초협력사회』. 사람들이 대부분 완전히 남남인, 수백만 명으로 구성된 거대한 사회에 살아가며 큰 집단으로 협력하는 놀라운 능력을 갖게 된 것은 매우 최근의 일이다. 시간을 거슬러 올라갈수록 인간의 협력 규모는 자꾸 작아져 작은 수렵채집 무리에 이르게 되는데, 이러한 작은 무리에서 거대한 국민국가로 바뀌게 만든 동력은 무엇일까? 저자는 문화진화론적 분석을 통해 이것의 답을 집단과 집단 사이에서 일어나는 경쟁과 갈등, 좀 더 직설적으로 말해 전쟁이라고 이야기한다. 전제군주가 다스리는 고대국가를 만든 것도, 그것을 무너뜨려 더 좋고 더 평등한 사회로 대치한 것도 전쟁이었다. 한마디로 전쟁은 파괴하면서 동시에 창조하는 힘이라고 이야기하면서 초사회성의 진화를 추진하는 것이 폭력, 즉 서로 전쟁을 하는 사회이고 궁극적으로 폭력을 줄이는 것 역시 초사회성이라고 말한다. 저자는 어떤 집단이 등장해서 융성, 쇠락, 소멸하는 과정은 개체들 간의 경쟁만으로 설명될 수 없으며, 그 간극을 집단 간의 경쟁에 대한 분석이 메워줄 수 있다고 보는데, 이 과정에서 핵심적인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것이 바로 전쟁이라고 강조한다. 국가는 전쟁의 압력에 대한 반응으로 진화했고, 협력의 규모가 커진 국가를 결속하는 힘은 제도와 문화 양쪽에서 ‘공진화’했다고 이야기하면서 슘페터의 ‘창조적 파괴’ 개념에 빗대어 전쟁을 ‘파괴적 창조’의 과정이라고 설명하며 협력의 진화, 전쟁의 파괴적인 면과 창조적인 면, 평등이 진화해온 궤적 등을 풀어내고자 한다.

Marc 보기

시설이용현황
리더 00893pam a2200313 c 4500
TAG IND 내용
001 KMO201900353
005 20190226213626
008 190226s2018 ggk 000 kor
020 9791185585598 03900: \18000
040 148100 148100
041 1 kor eng
056 331.1 26
090 331.1 46
245 00 초협력사회 : 전쟁은 어떻게 협력과 평등을 가능하게 했는가 / 피터 터친 지음 ; 이경남 옮김
246 19 Ultrasociety : how 10,000 years of war made humans the greatest cooperators on Earth
260 파주 : 생각의힘, 2018
300 375 p. ; 22 cm
500 원저자명: Peter Turchin 감수: 최정규
504 참고문헌: p. 364-375
546 영어 원작을 한국어로 번역
650 8 사회학 협력
653 초협력사회 전쟁 어떻 협력 평등 가능하 했 사회학 영어
700 1 Turchin, Peter, 1957- 이경남
900 10 터친, 피터, 1957-
950 0 \18000
049 0 SM00000736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