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상세페이지

KDC : 513.896
도서 뉴로트라이브 : 자폐증의 잃어버린 역사와 신경다양성의 미래
  • 저자사항 스티브 실버만 지음 ;
  • 발행사항 서울 : Alma(알마 출판사), 2018
  • 형태사항 697 p. ; 24 cm
  • 일반노트 원저자명: Steve Silberman 색인수록: 681-697 p.
  • ISBN 9791159922244
  • 주제어/키워드 뉴로트라이브 자폐증 역사 신경다양성 미래
  • ㆍ소장기관 통영시립도서관
marc 보기

소장정보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신청
SM0000072030 시립 종합자료실 대출가능 - 예약불가 상호대차

상세정보

“자폐증과 뇌의 작동 방식에 관심 있는 사람이라면 템플 그랜딘과 클라라 클레이본 파크의 저작들과 나란히 서가에 꽂아두어야 할 책이다.” _ 올리버 색스 2015 새뮤얼존슨 논픽션상 수상작 “아름답고 인간적이며 중요한 책!” 뉴욕타임스 “‘자폐증의 과거’에 관한 결정적인 책이다.” 이코노미스트 “숨이 멎을 듯하다. 그 어떤 책보다 심금을 울린다.” 보스턴글로브 “모든 사람이 이 책을 읽어야 한다. 모든 사람이 말이다.” 포브스 과학 분야의 책으로는 처음으로 새뮤얼존슨 논픽션상을 수상한 《뉴로트라이브》는 자폐증의 잃어버린 역사를 복원하고 자폐증에 관한 사회적 통념을 근본적으로 뒤집으면서 앞으로 우리의 미래를 새롭게 열어나갈 신경다양성이라는 개념을 탐색한다. 파라마운트 픽쳐스는 이 책을 영화로 제작하기로 결정했다. 자폐증이란 무엇인가? 일생 동안 지속되는 장애인가, 아니면 자연발생적 인지능력의 차이로 발현되는 특정한 형태의 천재성에 가까운 상태인가? 자폐증은 이 두 가지 유형은 물론, 보다 넓은 차원을 포괄한다. 그리고 우리의 미래는 자폐증을 얼마나 이해하는지에 달려 있다. 이 책은 자폐증, 난독증, ADHD 등 신경학적 차이가 인간 게놈의 복잡성과 다양성에서 비롯되었다는 것을 정확히 이해하고 받아들이고 발전시켜나갈 때, 우리가 보다 건강하고 안전하고 행복한 미래로 나아갈 수 있다는 것을 과학적으로, 그리고 감동적으로 논증해낸다. “《뉴로트라이브》는 보기 드문 공감능력과 감수성으로 자폐증의 모든 역사를 넓고 깊게 그려낸다. 이 책을 읽는다면 자폐증에 관한 생각이 완전히 바뀔 것이다. 자폐증과 뇌의 작동 방식에 관심 있는 사람이라면 템플 그랜딘과 클라라 클레이본 파크의 저작들과 나란히 서가에 꽂아두어야 할 책이다.”_ 올리버 색스의 서문에서

Marc 보기

시설이용현황
리더 01014pam a2200361 c 4500
TAG IND 내용
001 KMO201804612
005 20181120182323
007 ta
008 180827s2018 ulk 001 kor
020 9791159922244 03400: \36000
023 CIP2018027688
035 UB20180305869
040 011001 011001 148100
041 1 kor eng
052 01 513.896 18-3
056 513.896 26
082 01 616.85882 223
090 513.896 2
245 00 뉴로트라이브 : 자폐증의 잃어버린 역사와 신경다양성의 미래 / 스티브 실버만 지음 ; 옮긴이: 강병철
246 19 Neurotribes : the legacy of autism and the future of neurodiversity
260 서울 : Alma(알마 출판사), 2018
300 697 p. ; 24 cm
500 원저자명: Steve Silberman 색인수록: 681-697 p.
546 영어 원작을 한국어로 번역
586 새뮤얼존슨 논픽션상, 2015
650 8 자폐증
653 뉴로트라이브 자폐증 역사 신경다양성 미래
700 1 Silberman, Steve, 1957- 강병철
900 10 실버만, 스티브, 1957-
950 0 \36000
049 0 SM0000072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