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상세페이지

KDC : 181.3
도서 지식의 착각 : 왜 우리는 스스로 똑똑하다고 생각하는가
  • 저자사항 스티븐 슬로먼;
  • 발행사항 서울 : 세종서적, 2018
  • 형태사항 374 p. : 삽화 ; 22 cm
  • 일반노트 색인수록 원저자명: Steven Sloman, Philip Fernbach
  • ISBN 9788984076877
  • 주제어/키워드 지식 착각 우리 스스 똑똑하다 생각하는
  • ㆍ소장기관 통영시립도서관
marc 보기

소장정보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신청
SM0000071720 시립 종합자료실 대출가능 - 예약불가 상호대차

상세정보

무지한 인간이 지구상에 살아남아 번창한 이유는 무엇일까? 오랫동안 사람들의 마음을 연구하는 데 골몰해 온 인지과학자 스티븐 슬로먼과 필립 페른백이 오랫동안 천착해온 주제를 쉽게 풀어 선보이는 『지식의 착각』. 심리학, 컴퓨터과학, 로봇공학, 진화론, 정치학, 교육학을 두루 살펴보면서 마음이 어떻게 작동하고 마음의 용도는 무엇인지 알아보며 인간의 생각이 얼마나 얄팍하고 동시에 얼마나 강력한지 알아본다. 사람들은 대부분 자신이 실제로 아는 것보다 더 많이 안다는 지식의 착각 속에 산다. 아무리 이름난 학자라 하더라도 자신의 분야가 아닌 이상 이것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란 어려운 일이다. 하지만 사람들은 어떤 주제를 인터넷에 검색해보는 행위만으로도 자신이 그것에 대해서 어느 정도 안다고 느낀다. 그렇다면 과연 인간의 마음이란 무엇일까? 마음은 우리의 몸 어디에 자리를 잡고 있을까? 아마 많은 사람이 마음은 뇌에 머무른다고 상상할 것이다. 생각이 일어나는 장소인 뇌는 동물과 인간을 구별해주는 가장 큰 표지이자 우리 몸에서 제일 섬세하고 복잡한 기관이다. 그러나 저자들의 생각은 다르다. 저자들은 구체적인 연구 결과를 근거로 들어 머릿속에서 일어나는 생각은 뇌의 독립적인 작용이 아니라고 말한다. 마음은 뇌를 비롯한 여러 가지를 동원해서 정보를 처리한다. 마음은 몸의 도움을 받고, 사회에 깃든 지식에 의지하며, 주변 사람들이 가진 정보에 기대어 우리를 행동으로 이끈다. 이처럼 이해의 착각에 빠져 사는 무지한 개인을 구원하는 것이 바로 지식 공동체다. 개인은 무지하지만 집단은 그렇지 않다. 우리는 우리도 모르게 지식 공동체를 이루고 협력하며 사회를 여기까지 발전시켜왔다. 저자들은 인간은 무지하고, 앞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똑똑한 지식 공동체가 필요하다는 것을 자각해야 한다고 이야기하면서 오늘날 더욱 중요해진 지식 공동체의 역할을 설명하고, 개인이 그 안에서 어떻게 기여하고 함께 성장할 수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논한다.

Marc 보기

시설이용현황
리더 01021pam a2200385 c 4500
TAG IND 내용
001 KMO201804470
005 20181109163229
007 ta
008 180214s2018 ulka 001 kor
020 9788984076877 03180: \18000
023 CIP2018005540
035 UB20180030806
040 142014 142014 148100
041 1 kor eng
052 01 181.3 18-3
056 181.3 26
082 01 153.42 223
090 181.3 55
245 00 지식의 착각 : 왜 우리는 스스로 똑똑하다고 생각하는가 / 스티븐 슬로먼; 필립 페른백 지음 ; 문희경 옮김
246 19 Knowledge illusion : why we never think alone
260 서울 : 세종서적, 2018
300 374 p. : 삽화 ; 22 cm
500 색인수록 원저자명: Steven Sloman, Philip Fernbach
546 영어 원작을 한국어로 번역
650 8 지식 사고(생각)
653 지식 착각 우리 스스 똑똑하다 생각하는
700 1 문희경 Sloman, Steven Fernbach, Philip
900 10 페른백, 필립 슬로먼, 스티븐
950 0 \18000
049 0 SM00000717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