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상세페이지

KDC : 813.7
도서 세 여자 2 : 20세기의 봄
marc 보기

소장정보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신청
HM0000049841 v.2 충무 종합자료실 대출가능 - 예약불가 상호대차

상세정보

혁명이 직업이고 역사가 직장이었던 세 여자의 이야기! 각각의 무게감은 다를지언정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과 한국 공산주의운동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이름들, 박헌영, 임원근, 김단야. 그런데 이들의 동지이자 파트너였던 여성들, 주세죽, 허정숙, 고명자는 왜 한 번도 제대로 조명되지 못했을까. 조선희 작가는 소설 『세 여자』에서 우리가 몰랐던 세 명의 여성 혁명가, 그들의 존재를 담담히 보여주고자 한다. 세 여자가 살다 간 시대적 배경이 말해주듯 이 여성들을 중심으로 주변 남자들의 인생과 함께 1920년대에서 1950년대에 걸쳐 한국 공산주의운동사를 폭넓게 다루고 있다. 1920년 상해. 넓은 바깥세상을 구경하고 새로운 공부를 하고자 상해를 찾은 주세죽과 허정숙은 그곳에서 고려공산당 청년동맹을 이끌던 박헌영을 만나 새로운 인생에 발을 내딛게 된다. 이듬해 주세죽은 박헌영과 결혼했고, 귀국 후 허정숙을 중심으로 사회주의 여성운동 단체인 조선여성동우회를 결성하는 한편 고려공산청년회에 가입해 활동한다. 이때 이화여전을 다니던 고명자가 참여하며, 이들 셋은 조선공산당의 여성 트로이카로 불리게 된다. 1924년 허정숙은 동지였던 임원근과 결혼했고, 고명자는 애인이었던 김단야의 권유로 모스크바 유학을 떠난다. 1925년 발생한 제1차 조선공산당 사건, 이른바 ‘101인 사건’으로 이들 세 여자와 남자들은 혹독한 시련을 맞이하게 되고, 1930년대 후반부터 세 여자는 서로 너무도 다른 자리에서 다른 모습으로 격랑의 시대를 맞게 된다. 그리고 1945년, 각각 서울과 중국 연안, 카자흐스탄 크질오르다에서 해방을 맞이하고, 남북 모두 불안한 정세가 계속되던 중 김일성이 남조선해방이라는 명목으로 전쟁을 일으키면서 세 여자의 운명은 또 한 번 요동치게 되는데…….

Marc 보기

시설이용현황
리더 00604nam a2200229 c 4500
TAG IND 내용
001 KMO201800371
005 20180115144824
008 170728s2017 ulk 000a kor
020 1 9791160400724(2) 04810: \14000 9791160400700(세트)
035 (148122)KMO201706403 UB20170251297
040 148122 148122 148238
056 813.7 26
090 813.7 조54세 2
245 00 세 여자 2 : 20세기의 봄/ 조선희 지음
260 서울 : 한겨레, 2017
300 377 p. ; 21 cm
653 세 여자 조선희 장편소설 20세기 한국소설
700 1 조선희
950 0 \14000
049 0 HM000004984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