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상세페이지

KDC : 321.5
도서 우리는 왜 이렇게 오래, 열심히 일하는가? : 페미니즘, 마르크스주의, 반노동의 정치, 그리고 탈노동의 상상
marc 보기

소장정보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신청
HM0000044857 충무 종합자료실 대출가능 - 예약불가 상호대차

상세정보

미국 여성학자이자 페미니즘과 마르크스주의 관점에서 노동 문제에 천착해 온 저자는 임금노동이 사회적으로나 정치적으로 좋은 것(善)이라는 전제에 반기를 든다. 우리가 노동을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이면서 일을 ‘탈정치화’시켜 왔다고, 즉 정치적 비판 영역에서 일을 배제해 왔다고 주장한다. 특히 특정한 직업, 일자리 문제에 대해서는 비판하면서도 노동 자체에 대해서는 정치적 논의의 대상으로 여기지 않는 것을 비판하며 일의 문제를 다시 정치의 문제로 되가져온다. 살기 위해 일하는 것을 넘어 일하기 위해 사는 데에는 산업화 시대와 탈산업화 시대까지를 지배하고 있는 노동윤리가 가장 큰 몫을 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근면한 노동을 요구했던 과거 노동윤리부터, 노동자의 근면한 손뿐 아니라 마음과 감정까지도 요구하며 일을 즐기는 프로페셔널이 되도록 내몰리고 있는 탈산업화 시대 노동윤리까지, 변화해 온 자본주의 구조 저변에 흐르고 있던 노동윤리의 변화를 면밀히 살핀다. 노동조건 개선과 무급노동 가치를 인정하라며 싸워왔던 마르크스주의와 페미니즘을 포함한 진보적 정치 운동마저도 노동을 자연스럽고 불가피한 활동으로 받아들였던 것을 함께 지적하며 노동윤리의 강력한 영향력을 비판적으로 분석한다. 또한 마르크스주의와 페미니즘에서 임금노동으로 좁게 규정지어진 일의 개념을 확장하고 반노동(antiwiork) 담론과 탈노동(postwork)사회로의 정치적 상상의 단초를 다시 끌어올린다. 먼저 저자는 무급 가사노동의 유급화를 주장하던 1970년대 페미니즘 운동을 재해석하는 데서 출발해, 과거의 노동윤리를 거부하고 기본소득을 요구하자는 주장을 펼친다. 기본소득에 이은 저자의 요구는 노동시간 단축이다. 특히 일-가족 균형을 노동시간 단축의 근거로 삼는 것을 경계하며, 가족의 이름보다 자유와 자율이라는 목표를 중심으로 노동시간 단축을 성취하기 위해 싸우자고 제안한다.

Marc 보기

시설이용현황
리더 01014pam a2200349 c 4500
TAG IND 내용
001 KMO201700868
005 20170319150441
007 ta
008 160819s2016 ggk 000 kor
020 9788972977780 03300: \18000
023 CIP2016020261
035 UB20160203663
040 142010 142010 011001 148238
041 1 kor eng
052 01 321.5 16-25
056 321.5 26
082 01 331 223
090 321.5 윅57우
245 00 우리는 왜 이렇게 오래, 열심히 일하는가? : 페미니즘, 마르크스주의, 반노동의 정치, 그리고 탈노동의 상상 / 케이시 윅스 지음 ; 제현주 옮김
246 19 Problem with work : feminism, Marxism, antiwork politics, and postwork imaginaries
260 파주 : 동녘, 2016
300 400 p. ; 22 cm
500 원저자명: Kathi Weeks
504 참고문헌: p. 383-400
546 영어 원작을 한국어로 번역
650 8 노동 사회학
653 우리 이렇 오래 열심히 일하 페미니즘 마르크스주의 반노동 정치 그리 탈노동 상상
700 1 케이시 윅스 제현주
900 10 윅스, 케이시
950 0 \18000
049 0 HM00000448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