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상세페이지

KDC : 332.6
도서 한·중·일 사회에서의 소수자가족 : 정체성 탐구와 사회인정질서의 반성적 성찰
  • 저자사항 최연실...
  • 발행사항 서울 : 하우, 2014
  • 형태사항 217 p.; 23 cm
  • ISBN 9788976999535:
  • 주제어/키워드 한중일 사회 소수자가족
  • ㆍ소장기관 통영시립도서관
marc 보기

소장정보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신청
SM0000047902 시립 종합자료실 대출가능 - 예약불가 상호대차

상세정보

동아시아에 대한 관심을 지니고서 수년 간 연구 작업의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제1장에서는 한·중·일 소수자 가족 접근을 통해 ‘사회적 인정 질서’가 어떻게 탐색되고 분석될 수 있는지를 중심 내용을 통해 전개하였으며, 제2장은 한국의 화교가족을 중심으로 한 소수자가족 정체성을 논의하였다. 제3장에서는 한국 사회의 대표적 소수자집단이라고 할 수 있는 화교를 다문화주의의 시각과 관련하여 살펴보았으며, 제4장에서는 중국 사회의 여러 소수민족 중 특별히 우리와 깊은 연관이 있는 조선족의 문제를 다루었다. 또한 제5장은 일본 사회에서 소수자로서 다수의 위치를 점하고 있지만 사회적 차별과 무시의 대상이었던 재일 코리안의 문제를 조명하였고, 제6장에서는 한국 사회의 가장 근본적인 존재 조건인 분단을 염두에서 세계화 담론, 다문화담론의 맥락 속에서 전개된 한국 국민정체성의 성격과 변형을 통일론과 결부시켜 사고해 볼 것을 제안하였다.

Marc 보기

시설이용현황
리더 00556nam a2200205 c 4500
TAG IND 내용
001 KMO201013290
005 20140808110538
008 100525s2014 ulk AK 001a kor
020 9788976999535: \10000
040 148100 148100
056 332.6 24
090 332.6 7
245 00 한·중·일 사회에서의 소수자가족 : 정체성 탐구와 사회인정질서의 반성적 성찰 / 최연실...
260 서울 : 하우, 2014
300 217 p.; 23 cm
504 참고문헌 : p. 213-214, 부록으로 '한국에서의 화교 가족 면접 사례'등 수록
653 한중일 사회 소수자가족
700 1 최연실
950 0 \10000
049 0 SM0000047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