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상세페이지

KDC : 813.608
도서 이상문학상 작품집. 2024, 일러두기 외 5편
marc 보기

소장정보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신청
SM0000097123 v.47 신착도서(종합) 대출가능 - 예약불가 상호대차

상세정보

제47회 이상문학상 대상작 조경란, 「일러두기」의 서사적 기법과 문체의 힘! 평범한 서민 삶에 대한 섬세하고 따뜻한 이해를 기반으로 서사 기법과 문체의 조화로 깊은 감응력을 발휘하는 노작 1977년 제정된 이래 명실공히 한국의 대표적인 문학상으로 명성과 권위를 인정받아온 이상문학상이 어느덧 47회를 맞이했다. 2024년 제47회 이상문학상 심사위원회(권영민, 구효서, 김종욱, 윤대녕, 전경린)는 2023년 한 해 동안 국내에 발표된 중단편소설을 엄선하여 가장 많은 지지를 얻은 조경란의 「일러두기」를 대상 수상작으로 선정했다. 「일러두기」의 이야기는 평범한 서민의 삶에 대한 작가의 깊은 이해를 기반으로 따뜻하게 전개되고 있습니다. 도시 변두리 동네의 이웃들이 서로를 끌어안고 부딪치면서 살아가는 모습을 배경처럼 펼쳐내면서 각박한 현실의 이면에 숨겨진 주인공의 내면 의식의 변화를 꼼꼼하게 챙겨 보는 작가의 시선이 돋보입니다. 검정 복면을 사들고 누군가를 찾아야 한다며 복수를 꿈꾸고 있는 것처럼 말했던 주인공이 결국은 자기 안에 감춰진 초라했던 어린 시절 상처투성이의 자신을 끌어내어 구원하는 대목은 이 작품의 소설적 성취를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일러두기」의 주제 의식이 서사적 기법과 문체의 조화를 통해 깊은 감응력을 발휘하고 있는 점을 높이 평가하여 2024년 제47회 이상문학상 대상의 영예를 드립니다. -「대상 수상작 선정 이유」에서 ★ 대상 수상작 「일러두기」의 줄거리 이혼 후 직장을 그만두고 방황하다가 대도시 변두리 동네에서 아버지로부터 떠맡다시피 물려받은 복삿집을 운영하는 재서, 그리고 길 건너편에서 반찬가게를 하는 미용. 나이대도 비슷하고 자주 마주치는 사이이지만, 재서에게 미용은 ‘모른다고도 잘 안다고도 말할 수 없는 사람’일 뿐이다. 토박이가 대부분인 동네 사람들 또한 그 나이에 남편도 자식도 없고 혼자 산다는 이유로 미용을 여전히 석연찮은 여자로 여긴다. 자신의 감정을 한사코 숨기는 데 가진 에너지를 다 써버리는 듯한 사람. 의식하지 않으면 그 존재를 까맣게 잊기 십상인 사람. 그런데 어느 날 미용이 프린트하러 왔다가 까먹고 놓고 간 USB 속 글을 읽고, 재서는 그제야 미용이란 존재에 대해 흥미를 갖게 된다. 미용은 이렇게 썼다. 나는 태어나면서부터 나 자신을 잃어버리게 된 사람이었다,라고. 미성년인 열여덟 살에 첫아이를 낳은 엄마의 넷째로 태어나 모든 불행의 원인으로 지목된 탓에 생존을 위해 눈에 띄지 않는, 공손한 아이가 되어 살아야 했던 미용의 과거가 그 글들에 담겨 있었다. 재서가 팔을 다쳐 일을 할 수 없게 되자 미용이 찾아와 복삿집 일을 거들면서 재서는 미용에게 더욱 관심을 갖게 된다. 재서는 그녀가 또 실수로 USB를 놓고 가길 은연중에 바란다. 그러면서 왜 자신이 그녀의 글을 읽고 싶어 하는지를 깨닫는다. 결국 아버지와 다를 바 없는 평범하고 무료한 삶을 살아갈 터인 그 역시 그녀와 다르지 않은 인생이라는 것을. 그녀가 글을 쓰는 이유와 마찬가지로, 그 역시 누군가와 이야기를 나누고 싶다는 간절한 열망에 사로잡혀 있다는 사실을. 재서는 미용이 그때 USB를 가게에 놔두고 갔던 것은 어쩌면 실수가 아니었는지도 모른다고 생각한다. 어쩌면 그녀는 자기 이야기를 들려주고 싶은 사람을 찾고 있었고, 자신이 그 대상으로 선택된 것인지도 모른다고. 그런데 누군가를 찾아내기 위해 검은색 복면을 구입했다는 미용이 어느 날 가게 문을 닫고 사라진다. 재서는 그녀의 소식이 궁금해서 결국 산비탈에 있는 그녀의 집을 찾아간다. 미용은 다행히 집에 있었다. 가까이에서 대면하게 된 두 사람은 더욱 깊은 이야기를 나눈다. 그녀는 그동안 글을 썼다면서 재서에게 그 글을 읽어준다. 이 글을 통해 그녀가 찾아내고자 한 인물이 고등학교 시절 교련 시간에 자신을 학대했던 교련 선생님이었음이 밝혀진다. 교련 선생님을 만나 왜 그때 자기에게 그렇게 했는지 물어보고 싶었다는 것이다. 그런데 뜻밖에도 미용은 자신이 정말로 쓰고 싶었던 것은 교련 선생님에 대한 이야기가 아니라고 털어놓는다. 그리고 그 교련 시간에 창밖으로 내다보았던 연연한 분홍 꽃잎이 바람에 흩날리는 복사나무에 대해 얘기한다. 기가 막히게 아름다웠던 인생의 순간에 대해. 미용의 이야기를 듣고 나서, 재서는 책을 읽을 때 주의 사항을 미리 알려주는 ‘일러두기’에 대해 일러준다. 사람들 사이에도 ‘일러두기’라는 것이 있었으면 좋겠다면서, 미용은 검은색 복면으로 얼굴을 가리는 대신에 그 아랫단을 접어 벙거지처럼 머리에 쓴다. 그녀는 글을 통해 자기 내면 깊이 들어박혀 있던 상처투성이의 어린 미용을 구할 수 있었던 것이다.

Marc 보기

시설이용현황
리더 01317nam a2200505 c 4500
TAG IND 내용
001 KMO202401863
005 20240521173511
007 ta
008 240504s2024 ggkc 000aj kor
020 9788970125947(47) 03810: \16500
035 (111009)KMO202401559 UB20240124486
040 111009 111009 148100
056 813.608 26
090 813.608 11 47
245 00 이상문학상 작품집. 2024, 일러두기 외 5편 / 조경란, 김기태, 박민정, 박솔뫼, 성혜령, 최미래 지음
260 파주 : 문학사상, 2024
300 319 p. : 초상 ; 22 cm
490 10 이상문학상 작품집 ; 제47회(2024)
505 00 일러두기 / 조경란 --. 팍스 아토미카 / 김기태 --. 전교생의 사랑 / 박민정 --. 투 오브 어스 / 박솔뫼 --. 간병인 / 성혜령 --. 항아리를 머리에 쓴 여인 / 최미래
586 제47회 이상문학상, 2024
650 8 이상 문학상 한국 현대 소설
653 한국현대문학 이상문학상 한국현대소설 한국문학 수상작 작품집
700 12 박솔뫼 조경란 박민정 김기태 최미래 성혜령 최미래 김기태 박민정 조경란 박솔뫼 성혜령
740 02 항아리를 머리에 쓴 여인 일러두기 투 오브 어스 간병인 전교생의 사랑 팍스 아토미카
830 0 이상문학상 작품집 ; 제47회(2024)
950 0 \16500
049 0 SM0000097123 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