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상세페이지

KDC : 609.11
도서 한국 미술 다시 보기. 2 : 1980년대
marc 보기

소장정보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신청
SM0000092716 v.2 시립 종합자료실 대출가능 - 예약불가 상호대차

상세정보

‘한국 미술 다시 보기’ 시리즈 두 번째 책인 『한국 미술 다시 보기2: 1980년대』는 1980년대에 일었던 민중미술, 형상미술, 한국화, 여성주의 미술, 포스트모더니즘을 조명하고 있다. 작가들은 80년대에 이르러 미술의 사회적 성격을 명확히 인식하고 미술과 사회의 관계에 본격적으로 탐구한다. 이제 미술은 그동안 미술과 현실 간의 괴리를 자아냈던 미적 모더니티에 대한 비판적 인식에 기초해, 당대의 엄혹한 사회 환경을 바꿀 수도 있는 역동적인 사회적 모더니티를 추구하게 된다. 김종길은 「1980년대 민중미술운동」에서 80년대 들어 전국 각지에서 결성되기 시작한 다양한 소집단들의 미술 실천을 추적하면서 당시에 사용된 ‘민중미술’의 의미를 검토하면서, 동시에 80년대 후반 들어 일기 시작한 형상미술의 다양한 양태도 민중미술과의 관계에 비추어 탐구한다. 80년대는 이전과는 다른 급격한 삶의 환경 변화, 국내 미술계의 갈등과 변화, 포스트모더니즘을 비롯한 서구 현대미술의 강력한 파급력, 젊은 세대의 새로운 감수성, 테크놀로지의 확산과 새로운 현상이 분출하던 시대로, 동양화단은 불가피하게 전통과 현대, 독자성과 세계성 등 동양화의 정체성을 둘러싼 전면적 도전을 받게 된다. 박영택은 「80년대 동양화단의 흐름과 담론」에서 80년대의 이러한 변화의 흐름에서 필연적으로 여러 갈등을 노정해야 했던 동양화단의 문제들을 다루고 있다. 이선영의 「1980년대와 여성, 그리고 여성주의 미술」은 1980년대 중반에 들어와 여성 문제를 본격적으로 논의하고 이를 작품을 통해 표현하고자 하는 시도에 주목해, 문화운동의 일환으로 전개된 1980년대 여성주의 미술을 탐색한다. 임산은 「1980년대 한국 현대미술의 분화: 모더니즘 ‘이후’의 담론과 실천의 의미」에서 1980년대의 포스트모더니즘 논쟁, 소그룹 운동, 설치미술과 행위미술, 그리고 뉴미디어 아트 등의 영역을 검토하고 있다.

Marc 보기

시설이용현황
리더 00959nam a2200337 c 4500
TAG IND 내용
001 KMO202301144
005 20230310164549
007 ta
008 230310s2022 sjka 000 korOY
020 1 9788965642817(2) 94600: \40000 9788965642794 (세트)
035 UB20230086079
040 011001 011001 148100
052 01 609.11 23-6 1-3
056 609.11 26
082 01 709.519 223
090 609.11 26 2
245 00 한국 미술 다시 보기. 2 : 1980년대 / 김종길, 박영택, 이선영, 임산 엮음
260 문화체육관광부 ; 서울 : 예술경영지원센터 : 현실문화연구, 2022
300 447 p.: 천연색삽화 ; 24 cm
504 참고문헌(p.438-444)과 "한국현대미술 연표:1980년대" 수록
650 8 한국 미술 한국 미술사
653 한국 미술 보기 1980년대 한국미술 한국미술사 미술사 한국현대미술
700 1 김종길, 1968- 박영택, 1963-, 朴榮澤 이선영 임산, 1971-, 林山
740 02 1980년대
950 0 \40000
049 0 SM0000092716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