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상세페이지

KDC : 485.16025
도서 겨울나무 : 우리 땅에 사는 나무들의 겨울나기
  • 저자사항 김태영,
  • 발행사항 파주 : 돌베개, 2022
  • 형태사항 447 p. : 천연색삽화 ; 25 cm
  • 일반노트 권말부록: 상록수의 겨울눈
  • ISBN 9791191438987
  • 주제어/키워드 겨울나무 나무 겨울나기
  • ㆍ소장기관 통영시립도서관
marc 보기

소장정보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신청
SM0000091788 시립 종합자료실 대출가능 - 예약불가 상호대차

상세정보

나무들의 ‘눈’으로 담은 가장 생생하고 정확한 움직임 『겨울나무』로 완성되는 한국의 나무도감 겨울나무는 그저 죽은 듯 가만히, 봄을 기다리는 것이 아니다 눈 속에 품은 생동하는 생명을 포착한 최초의 나무도감 명실상부 최고의 나무도감으로 자리 잡은 『한국의 나무』(2018, 개정신판)에 이어, 겨울에서 봄에 이르는 계절에 특정해 나무들의 생태를 다루는 나무도감 『겨울나무』가 돌베개에서 출간된다. 이 책은, 겨울 숲을 누비는 식물 연구자나 나무 애호가들이 나뭇잎이나 열매가 없는 한겨울에 나무를 동정同定하는 데 참고할 만한 그저 평범한 ‘겨울눈’ 도감이 아니다. 물론 낙엽수 434종과 상록수 108종의 겨울눈 사진을 상세히 담기는 하였으나, 『겨울나무』는 ‘겨울눈으로 겨울나무 동정하기’ 그 너머를 바라본다. 여러 달의 추운 계절 동안 죽은 듯 서 있는 겨울나무가 봄을 맞이하며 겨울눈에서 움을 틔우는 과정 또한 포착하여, 생명을 전개하는 나무의 모습 또한 담고자 노력한 것이다. 이는 국내외 어느 ‘겨울나무’ 도감에서도 시도하지 않은 모험이다. 저자들은 겨울눈이 전개되는 과정을 담음으로써 겨울나무가 그저 죽어 있는, 또는 쉬고 있는 것이 아님을, 온 힘을 다해 살아 나가고 있음을 강조하고, 나무의 ‘삶’ 그 자체를 깊이 이해하고자 노력하였다. 또한 그저 겨울눈이나 소지(1년생 가지)를 놓고 외양의 특징이나 털의 유무를 따지는 것만으로는 나무의 생태를 깊이 이해하는 데 한계가 있음을 지적하며, 무엇보다도 먼저 인간 중심적인 시각에서 벗어나 나무의 입장에 서서 생명 현상을 관찰하고 그 삶에 공감하려고 시도했다.

Marc 보기

시설이용현황
리더 00804nam a2200313 c 4500
TAG IND 내용
001 KMO202300220
005 20230210155856
007 ta
008 230126s2022 ggka 001 kor
020 1 9791191438987 04480: \40000 9788971999073 (세트)
035 (141011)KMO202204770 UB20220618678
040 141011 141011 011001 148100
056 485.16025 26
090 485.16025 1
245 00 겨울나무 : 우리 땅에 사는 나무들의 겨울나기 / 김태영, 이웅, 윤연순 지음
260 파주 : 돌베개, 2022
300 447 p. : 천연색삽화 ; 25 cm
500 권말부록: 상록수의 겨울눈
504 참고문헌과 색인 수록
650 8 나무(식물) 식물 도감
653 겨울나무 땅 사 나무 겨울나기
700 1 김태영, 金泰英 이웅 윤연순
950 0 \40000
049 0 SM00000917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