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상세페이지

KDC : 892.1
도서 일리아스 또는 의 시
marc 보기

소장정보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신청
SM0000091611 시립 종합자료실 대출가능 - 예약불가 상호대차

상세정보

1938년경 시몬 베유는 한 편의 글을 집필하기 시작한다. 유럽 대륙에 불길한 전쟁의 기운이 감돌던 시점에 쓴 이 글은 뜻밖에도 고대 그리스의 대표적인 서사시를 다루고 있다. 시몬 베유의 가장 중요하고 아름다운 논고 중 하나로 손꼽히는 「일리아스 또는 힘의 시」가 바로 그 글이다. 리시올 출판사는 이제까지 국내에 번역된 적 없는 베유의 「일리아스 또는 힘의 시」를 처음 번역 출간한다. 이 글에서 베유는 독창적인 방식으로 호메로스의 『일리아스』를 해석한다. 그가 보기에 이 서사시의 진짜 주인공이자 중심 주제는 위대한 영웅들이 아니라 힘이다. 베유는 힘의 논리에 입각해 『일리아스』를 읽고 이 서사시가 전쟁의 차가운 잔혹성과 공평성을 서구 역사상 그 어떤 작품보다도 선명하고 생생하게 드러낸다고 주장한다. 나아가 베유에게 이 시는 여러 형태의 순수한 사랑을 그림으로써 사람들이 힘의 포획에서 벗어나 영혼을 지니게 되는 “그 짧고 신적인 순간”을 묘사하고 있기도 하다. 이 책은 또 베유의 미완성 원고 「마르크스주의적 독트린은 존재하는가」를 함께 수록하고 있다. 중력과 은총의 대립으로 잘 알려진 베유의 사고 체계는 「일리아스 또는 힘의 시」에서 힘과 거기서 빠져나오는 은총의 대립으로 형상화된다. 그리고 「마르크스주의적 독트린은 존재하는가」에서 이 대립은 베유가 마르크스주의 사고의 약점으로 지적하는 필연성과 초자연적인 것의 대립으로 이어진다. 이렇게 두 글은 『일리아스』와 마르크스라는 상이한 대상을 다루지만 힘과 필연성, 전쟁, 은총 등의 주제를 중심으로 동일한 짜임새를 갖추고 있다. 그 어느 때보다 힘과 권력이 숭배되고 힘의 격차는 나날이 벌어지는 오늘날 힘과 필연성, 불행, 선, 은총, 주의(관심), 교육 등에 대한 그의 성찰은 우리에게 사고와 태도의 방향을 제시해 준다. 이 새로운 번역을 통해 우리는 그동안 오해받았거나 잊혔던 시몬 베유의 생각들을 더 체계적으로 들여다볼 수 있을 뿐 아니라 우리 시대의 문제들에 그가 어떤 도전을 제기하는지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Marc 보기

시설이용현황
리더 01097nam a2200409 c 4500
TAG IND 내용
001 KMO202300045
005 20230203132516
007 ta
008 220125s2021 ulk 000 u kor
020 9791190292122 93100: \12000
035 UB20220022567
040 011001 011001 148100
041 1 kor fre
052 01 892.1 22-2
056 892.1 26
082 01 883.01 223
090 892.1 23
245 00 일리아스 또는 힘의 시 / 시몬 베유 지음 ; 이종영 옮김
246 19 Iliade ou le poème de la force
260 서울 : 리시올, 2021
300 123 p. ; 20 cm
500 원저자명: Simone Weil
504 "시몬 베유 연보" 수록
505 00 일리아스 또는 힘의 시 --. 마르크스주의적 독트린은 존재하는가
546 프랑스어 원작을 한국어로 번역
600 08 Homeros
650 8 일리아스 서사시 평론 그리스 문학
653 일리아스 또 힘 시 마르크스주의적 독트린 존재하 서사시 그리스문학 평론
700 1 이종영, 1957-, 李鍾暎 Weil, Simone, 1909-1943
740 02 마르크스주의적 독트린은 존재하는가
900 10 베유, 시몬, 1909-1943
950 0 \12000
049 0 SM00000916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