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상세페이지

KDC : 152.32
도서 양한사상사 = Intellectual history of the Han dynasties. 권1(상), 주·진·한 정치사회구조 연구
marc 보기

소장정보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신청
HM0000073729 v.760 충무 종합자료실 대출불가 - 예약불가 상호대차불가

상세정보

『양한사상사』는 서복관의 나이 63세에 발분하여 77세까지 약 15년에 걸쳐 혼신의 힘을 기울여 완성한 작품으로서 학문의 내공이 쌓일 만큼 쌓인 만년의 나이에 무르익은 사상의 정수를 쏟아부어 빚어낸 일생일대의 역작이다. 그는 중국 고대사상 분야에서 많은 저술을 남겼지만 그간의 자료 분석과 저술 활동은 모두 본서의 기초 작업이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본서는 그의 학문과 사상을 농축한 저술이자 그의 인생을 대변하는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양한사상사』의 저변을 관류하는 중심 주제가 있다면 그것은 당연히 반전제(反專制) 정신이다. 서복관이 특히 심혈을 기울인 사상가는 동중서와 사마천이다. 두 사람의 주요 공통점 중 하나는 중국의 “전형적 전제정치”를 출범시킨 한 무제를 내심 극력 반대하고 비판했다는 점이다. 두 사람과는 달리 후한의 반고 부자는 전제군주의 지고무상한 지위를 확립하는 것을 지식인의 최우선 과제로 삼았다. 서복관은 사마천과 반고의 우열을 비교하는 글에서 반고의 역사 서술을 역사에 대한 모욕이자 왜곡으로까지 폄하하고 있다. 그의 칼날은 『법언』과 『태현경』을 저술한 전한 말의 지식인 양웅, 『논형』을 저술한 후한의 왕충에게까지 뻗친다. 전제정치에 대한 찬성과 반대, 전제정치에 감연히 맞서 그 폐단을 지적하는 비판정신의 유무를 사상의 장단 및 우열을 비교 평가하는 제일의 기준으로 삼은 점은 『양한사상사』의 일대 특징이다.

Marc 보기

시설이용현황
리더 01317nam a2200421 c 4500
TAG IND 내용
001 KMO202203987
005 20221227123039
007 ta
008 221007s2022 ulka 000 kor
020 1 9791166840890 )(760) 94150: \34000 9791166840883 (세트)
035 UB20220322208
040 011001 011001 148238
041 1 kor chi
052 01 152.32 22-8 1(1)
056 152.32 26
082 01 181.11 223
090 082 한16한 760
240 202208419 兩漢思想史. 한국어
245 00 양한사상사 = Intellectual history of the Han dynasties. 권1(상), 주·진·한 정치사회구조 연구 / 서복관 저; 김선민, 문정희 역
246 19 兩漢思想史
260 서울 : 세창출판사, 2022
300 418 p. : 삽화 ; 23 cm
490 10 한국연구재단 학술명저번역총서. 동양편 ; 760
500 원저자명: 徐復觀
536 2011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421-2011-1-A00005)
546 중국어 원작을 한국어로 번역
650 8 중국 철학
653 양한사상사 주진한 정치사회구조 INTELLECTUAL HISTORY HAN DYNASTIES 한국연구재단 학술명저번역총 동양편
700 1 쉬푸관, 1903-1982, 徐復觀 김선민, 金羨珉 문정희, 1964-, 文貞喜
830 0 한국연구재단 학술명저번역총서. 동양편 ; 760 한국연구재단 학술명저번역총서
900 10 서복관, 1903-1982, 徐復觀 서부관, 1903-1982, 徐復觀
950 0 \34000
049 0 HM0000073729 760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