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상세페이지

KDC : 334.21
도서 풍요의 시대, 무엇이 가난인가? : 숫자가 말해 주지 않는 가난의 정의
  • 저자사항 루스 리스터 지음 ;
  • 발행사항 서울 : 갈라파고스, 2022
  • 형태사항 381 p. ; 21 cm
  • 일반노트 원저자명: Ruth Lister 색인 수록
  • ISBN 9791187038887
  • 주제어/키워드 가난 정의 풍요 빈곤 불평등 빈곤지수
  • ㆍ소장기관 통영시립도서관
marc 보기

소장정보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신청
SM0000091077 시립 종합자료실 대출가능 - 예약불가 상호대차

상세정보

‘벼락 거지’는 넘치고 빈민은 가려지는 시대 ‘선진국’이 된 한국에서 가난은 무엇인가? 가난이 무엇인지 사람마다 생각하는 바가 다르다. 어떤 사람에게는 당장 먹을 음식이나 잘 곳이 없는 것, 생활비 부족, 심지어는 원하는 브랜드에서 물건을 사지 못하는 것일 수도 있다. 미디어에서는 ‘하우스 푸어’, ‘카 푸어’처럼 주택이나 자동차 같은 자산은 소유하고 있지만, 구매력이 떨어진 상황에 ‘가난(푸어)’이라는 수식을 붙이기도 한다. 이 모든 ‘가난’은 모두 같은 가난일까? 그렇지 않다면 어떤 것은 ‘가짜’ 가난이고, 어떤 것은 ‘진짜’ 가난인 걸까? 지금 나의 상태도 가난이라 할 수 있을까? 오랜 시간 빈곤을 연구하는 학자이자 반빈곤 활동가였고, 현재 상원의원으로 활동하며 학계, 사회운동, 정책과 정치 분야에서 두루 공헌한 저자는 이 책에서 가난을 어떻게 정의하고, 측정하고 해결할 것인지에 대한 다양한 논의와 실질적인 대안을 제공한다. 한 유명 투자전문가는 “가난은 병”, 돈을 모르는 “금융 문맹은 전염성이 아주 높은 질병”이라는 표현으로 방송에서 주식 투자를 독려했다. 팬데믹으로 기존 복지 제도의 구멍이 드러나고, 거기서 고통받는 이들이 더 늘어난 상황에서 편견과 혐오에 기댄 이런 표현은 가난에 대한 공포와 ‘복지 의존’, ‘복지 탈취’ 같은 허상의 혐오를 더 증폭시킬 뿐이다. 가난을 ‘전염병’에 비유하는 혐오 표현은 특히 뿌리가 깊다. 19세기 런던에서는 빈곤한 이들을 ‘역병’, ‘악덕과 질병의 물결’ 같은 표현으로 묘사하곤 했다. 이뿐 아니라 가난에는 우범성criminality, 타락, 게으름, 악덕, 오염이라는 낙인이 따라붙었고, 이런 낙인이 현대 복지제도에서도 ‘자격 있는 빈민’, ‘자격 없는 빈민’을 가르는 기준에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가난과 ‘빈민’에 대한 혐오적인 편견과 시선은 반복적으로 빈곤을 개인의 기질, 성향의 문제로 돌리며 빈곤의 구조적 원인을 지운다. 저자는 빈곤이라는 결과를 만드는 원인에는 개인의 행위도 있지만, 사회, 문화와 같은 구조가 큰 영향을 미치며 개인의 행위 역시 구조 안에서 만들어진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한다.

Marc 보기

시설이용현황
리더 00952nam a2200373 c 4500
TAG IND 내용
001 KMO202204258
005 20221012145412
007 ta
008 220726s2022 ulk 001 kor
020 9791187038887 93300: \18500
035 (121014)KMO202212220 UB20220230297
040 121014 121014 011001 148100
041 1 kor eng
052 01 334.21 22-6
056 334.21 26
090 334.21 18
245 00 풍요의 시대, 무엇이 가난인가? : 숫자가 말해 주지 않는 가난의 정의 / 루스 리스터 지음 ; 장상미 옮김
246 19 Poverty (2nd ed.)
260 서울 : 갈라파고스, 2022
300 381 p. ; 21 cm
500 원저자명: Ruth Lister 색인 수록
546 영어 원작을 한국어로 번역
650 8 빈곤 불평등 가난
653 가난 정의 풍요 빈곤 불평등 빈곤지수
700 1 Lister, Ruth 장상미
740 02 숫자가 말해 주지 않는 가난의 정의
900 10 리스터, 루스
950 0 \18500
049 0 SM00000910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