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상세페이지

KDC : 334.2
도서 보통 일베들의 시대 : '혐오의 자유'는 어디서 시작되는가
marc 보기

소장정보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신청
HM0000072990 충무 종합자료실 대출가능 - 예약불가 상호대차

상세정보

논문 이후 8년, 그사이 일베의 영향력이 사라졌다면 이 책은 출간되지 않았을 것이다 2010년대 중반, ‘표현의 자유’를 내세운 혐오의 유희로 온라인을 물들인 일간베스트저장소는 사이버 공론장에 돌이킬 수 없는 변화를 가져왔다. ‘드립’이란 말로 유머를 가장한 채 온라인에 퍼져나간 혐오의 메시지들은 일베가 생긴 지 10여 년이 흐른 지금 현실 정치인들의 목소리로 발화되는 지경에 이르렀고, ‘이대남’에 대한 문제적 호명과 함께 한국 사회의 ‘일베화’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심심치 않게 들려온다. 도대체 왜, ‘일베화’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그 영향력이 커져만 가는가? 정치와 사회 곳곳에서 감지되는 ‘일베의 그림자’란 구체적으로 무엇을 의미하는가? 일베로 드러난 한국 사회의 민낯은 무엇을 말하는가? 일베는 정말 ‘낡은’ 이야기인가? 2014년 일베가 몰고 온 사회적 충격이 가장 크던 시점에 일베를 연구한 논문으로 화제를 모았던 저자가 그로부터 8년 이후, 혐오 선동의 정치가 부상한 이곳에서 다시 일베를 이야기한다. 일베라는 현상은 구체적으로 어떤 현상인가? 저자는 이에 답하기 위해 가장 먼저 사이버 유머의 기원과 함께 딴지일보와 디시인사이드로 거슬러 올라가는 일베의 계보를 훑는다. 일베가 어디서 갑자기 뚝 떨어진 ‘괴물’이 아님을 이해할 때, 다시 말해 일베에서 벌어진 지독한 혐오의 놀이가 ‘그들만의 것’이 아님을 이해할 때 사회적 현상으로서의 일베 또한 파악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저자는 이를 위해 온라인 커뮤니티 게시판에 글을 쓰는 가장 강력한 동인이자 사이버공간에서 일종의 자본으로 기능하는 ‘웃음’을 논하고, 한국형 밈의 기원으로서 딴지일보식 패러디를 설명하며, 그것을 심화ㆍ발전시킨 곳으로 디시인사이드를 서술한다. 일베가 탄생한 직접적인 원인이 디시의 게시물 삭제 조치에 있었다는 점을 고려하면, 1990년대 후반에서 2010년대 사이 딴지-디시-일베로 이어지는 사이버공간의 간략한 문화사는 일베가 어떻게 사이버문화의 ‘전통’을 나름으로 ‘발전’시킨 커뮤니티인지를 이해하는 단초를 제공한다

Marc 보기

시설이용현황
리더 00857nam a2200313 c 4500
TAG IND 내용
001 KMO202203266
005 20220818104307
007 ta
008 220707s2022 ggkad 000 kor
020 9791168730250 03300: \19000
035 (111015)KMO202204392 UB20220203839
040 111015 111015 011001 148238
052 01 334.2 22-6
056 334.2 26
082 01 361.1 223
090 334.2 김92보
245 00 보통 일베들의 시대 : '혐오의 자유'는 어디서 시작되는가 / 김학준 지음
260 파주 : 오월의봄, 2022
300 383 p. : 삽화, 도표 ; 21 cm
490 10 대한민국을 생각한다 ; 51
536 한국출판문화사업진흥원의 2022년 인문교육콘텐츠 개발 지원 사업을 통해 발간된 도서임
650 8 혐오 사회 문제
653 보통 일베 시대 혐오 자유 어디 시작되 대한민국 생각한
700 1 김학준
830 0 대한민국을 생각한다 ; 51
950 0 \19000
049 0 HM00000729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