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상세페이지

KDC : 909
도서 1000년 : 세계가 처음 연결되었을 때
  • 저자사항 발레리 한센 지음;
  • 발행사항 서울 : 민음사, 2022
  • 형태사항 468 p., 도판 삽화, 지도 ; 23 cm
  • 일반노트 원저자명: Valerie Hansen 색인 수록
  • ISBN 9788937442711
  • 주제어/키워드 1000년 세계 처음 연결되었 천년
  • ㆍ소장기관 통영시립도서관
marc 보기

소장정보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신청
SM0000090145 시립 종합자료실 대출가능 - 예약불가 상호대차

상세정보

기원후 1000년, 최초의 세계화가 시작되다 우리는 유럽인들이 희망봉을 돌고 아메리카로 향한 15세기 후반에 비로소 세계가 연결되었다고 믿는다. 또한 세계화를 20세기에 시작된 현상으로 이해하려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과연 그럴까? 지난 30년간 중국사와 세계사, 문명 교류사를 연구해 온 저명한 역사가 발레리 한센(예일 대학 교수)은 요나라와 송나라가 맺은 전연의 맹, 카라한 왕조의 호탄 정복, 바이킹의 아메리카 상륙 등 같은 시기에 일어났지만 아무런 연관이 없어 보이는 사건들에서 공통된 흐름을 포착한다. 그리고 그 팽창의 배후에는 기원후 1000년 무렵에 일어난 최초의 세계화가 있다고 주장한다. 전염병의 대유행과 전쟁으로 이제 세계화는 끝났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것은 위기일까? 대관절 세계화란 무엇일까? 이러한 문제 제기 속에서 이번에 출간되는 『1000년』은 세계화란 무엇인지 정의하고 그 기원을 추적한다. 또한 오늘날의 세계가 1000년의 세계로부터 탄생했다는 대담하고 획기적인 해석을 제시한다. 발레리 한센이 보여 주는 1000년 무렵의 삶은 21세기의 삶과 놀라울 정도로 닮았다. 오늘날 종교 신자의 92퍼센트는 1000년 무렵에 확립된 4대 종교(이슬람, 기독교, 힌두교, 불교) 중 한 가지를 믿는다. 세계화가 기술의 확산, 전통의 상실을 불러왔다는 점도 같다. 카이로와 콘스탄티노플, 광저우에서는 분노한 군중이 최초의 반(反)세계화 폭동을 일으켜 외국인들을 공격했다. 우리는 1000년의 세계화에서 어떤 교훈을 얻을 수 있을까? 저자는 생소한 환경에 맞닥뜨렸을 때 어떻게 반응하는 것이 최선인지를 배울 수 있다고 말한다. 다짜고짜 현지인을 살해한 바이킹보다는 새로운 언어를 배우고 참을성 있게 우호 관계를 쌓은 사람들이 미지의 먼 땅에서도 성공했다. 물론 모두가 그랬던 것은 아니다. 그러나 생소함에 개방적인 사람들이 새것이라면 무조건 손사래를 친 사람들보다 훨씬 좋은 결과를 얻어 낸 것은 분명하다. 그것이 1000년 무렵이나 지금이나 변하지 않는 진실

Marc 보기

시설이용현황
리더 00969nam a2200349 c 4500
TAG IND 내용
001 KMO202203130
005 20220703172240
007 ta
008 220512s2022 ulkab 001 kor
020 9788937442711 03900: \27000
035 (111004)KMO202201685 UB20220135520
040 111004 111004 011001 148100
041 1 kor eng
056 909 26
090 909 196
245 00 1000년 : 세계가 처음 연결되었을 때 / 발레리 한센 지음; 이순호 옮김
246 19 Year 1000 : when explorers connected the world - and globalization began
260 서울 : 민음사, 2022
300 468 p., 도판 삽화, 지도 ; 23 cm
500 원저자명: Valerie Hansen 색인 수록
546 영어 원작을 한국어로 번역
650 8 세계사 세계화
653 1000년 세계 처음 연결되었 천년
700 1 Hansen, Valerie, 1958- 이순호, 1956-
900 10 한센, 발레리, 1958-
940 0 천년
950 0 \27000
049 0 SM00000901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