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상세페이지

KDC : 381.75
도서 음식은 문화다 : 속담으로 본 한·중 음식문화
  • 저자사항 이화형 지음
  • 발행사항 서울 : 세창미디어, 2020
  • 형태사항 156 p. : 삽화 ; 18 cm
  • ISBN 9788955866421
  • 주제어/키워드 음식 문화 속담 한중 음식문화 식문화
  • ㆍ소장기관 꿈이랑도서관
marc 보기

소장정보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신청
EM0000096679 꿈이랑 맛있는 서재(미각) 대출가능 - 예약불가 상호대차

상세정보

인간과 과학의 융합, 한·중 음식문화 한·중의 음식 풍습에는 그릇에 남겨진 음식 한 점을 서로가 쉽게 가져가지 못할 만큼 상대방에 대한 배려를 소홀히 하지 않았다. 양국에는 음식이 약이 된다는 약식동원 사상이 깃들어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계절 음식이 특별히 강조되었다. 한·중에는 주식인 밥이나 면과 함께 여러 반찬을 부식으로 삼는 조화로운 식습관이 있다. 예절중시와 자연친화, 한국 음식문화 한국에서는 한 그릇의 찌개 국물을 함께 떠먹을 만큼 인정을 중시하면서도 어른 앞에서 두 손으로 술을 받고 좀 돌아서서 마시는 등 엄격한 예절이 많이 전하고 있다. 한국의 음식문화는 생식을 으뜸으로 삼을 정도로 자연 친화성이 강하다. 한국의 식문화에서는 국물이 중시되면서 숟가락이 발달하고 나아가 수저 문화가 형성되었다. 실리와 숙식, 중국 음식문화 중국의 식문화는 재배가 용이하고 영양이 풍부한 밀 음식을 즐겨 먹고 각성을 위해 차를 많이 마시는 등 실리적 성격이 강하다. 중국의 경우 숙식 문화에 걸맞게 화후라는 불의 세기와 시간 조절이 특별히 문제 된다. 중국에서는 맛과 향에 대한 감각과 함께 식재료의 선택, 조미료의 배합, 칼질 솜씨 등 가공기술이 크게 발달하였다.

Marc 보기

시설이용현황
리더 00897pam a2200349 c 4500
TAG IND 내용
001 KMO202100685
005 20210512181713
007 ta
008 201117s2020 ulka 000 kor
020 1 9788955866421 04910: \7500 9788955864922 (세트)
023 CIP2020048868
035 (111004)KMO202007861 UB20200859302
040 111004 111004 011001 148038
052 01 381.75 21-1
056 381.75 26
082 01 394.12 223
090 381.75 이95음
245 00 음식은 문화다 : 속담으로 본 한·중 음식문화 / 이화형 지음
260 서울 : 세창미디어, 2020
300 156 p. : 삽화 ; 18 cm
490 10 역사산책 ; 014
504 참고문헌 수록
650 8 식문화
651 8 한국(국명) 중국(국명)
653 음식 문화 속담 한중 음식문화 식문화
700 1 이화형, 1955-, 李和炯
830 0 역사산책 ; 014
950 0 \7500
049 0 EM0000096679 미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