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상세페이지

KDC : 148.3
도서 (큰글자도서)사자논어 100선
marc 보기

소장정보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신청
HM0000066516 충무 종합자료실 대출가능 - 예약불가 상호대차

상세정보

2500년 전의 지혜는 지금 우리 곁에 있다 네 글자로 압축한 100개의 경문으로 살아 숨 쉬는 논어의 깊이와 여운, 무력하고 아둔한 일상을 일으켜 통찰과 여유를 세운다 큰글자로 만나는 100가지 지혜 공자와 제자들이 겪은 삶의 진액이 넘쳐 나는 이야기 《논어》. 2500여 년이 흐르는 동안 수많은 사람에게 삶의 의미와 지혜를 전달한 살아 있는 고전이다. 이 책은 방대한 《논어》 전문 중 우리에게 감동과 교훈을 주는 이야기를 네 글자로 만들어 펴냈다. 《논어》를 펼쳐 처음 만나는 “학이시습지 불역열호(배우고 때때로 익히면 또한 기쁘지 아니한가)”라는 경구에서 ‘학이시습學而時習’을 떼어 이 경구 전체를 대표해 설명하는 방식이다. 그래서 ‘사자논어四子論語’라 이름 붙였다. 총 스무 편으로 이루어진 《논어》 전편에서 100개의 경문을 추렸으며, 원문에 있는 내용을 그대로 적용해 만들기도 하고 어떤 부분은 네 글자로 축약해 만들기도 했다. 모든 편에서 고르게 뽑았으나 각 편에서 양적으로 균등하게 뽑기보다 독자에게 필요한 내용 위주, 중요한 내용 위주로 선별했다. 《사자논어 100선: 네 글자에 담긴 성현의 지혜》는 학문적 동기이자 선후배 사이인 세 학자가 함께 작업해 삼인삼색의 맛이 있다. 성균관 교육원장인 최영갑 교수, 성신여자대학교 한문교육과 김용재 교수, 전북대학교 철학과 진성수 교수가 오랜 시간 《논어》를 공부하고 일반인을 대상으로 강연하면서 체득한 다양한 삶의 이치와 통찰을 모아 엮었다. 세 명의 저자는 오랜 세월 친구처럼 지내 온 선후배 사이로 처음으로 함께 작업했다. 집필을 하면서 “세 사람이 길을 가면 반드시 스승이 있다.”(〈술이〉편)는 공자의 말씀을 각자 체득하는 기회를 가졌다. 세 학자 모두 삶과 글이 하나가 되어야 한다는 경건한 마음으로 이 책에 임했다. 100개의 경문에 대해 필자 개개인이 가진 진솔한 경험과 내면의 울림을 편안하게 써 내려감으로써 나이, 성별, 직업을 불문하고 누가 읽든 독자 모두가 《논어》의 교훈을 자기만의 방식으로 마음에 품을 수 있도록 도왔다. 《사자논어 100선》은 풀빛이 시도한 첫 번째 ‘큰글자책’이다. 《논어》에 대한 깨알같이 작은 글씨의 방대한 주석과 해설에서 벗어나 큰 활자로 《논어》의 지혜를 한눈에 보게 했다. 먼저 네 글자로 압축한 경문을 장 시작 페이지 중앙에 커다랗게 배치하고, 이에 대한 필자의 경험 섞인 해설을 2~3페이지 안에 큰 글자로 기록했다. 무엇보다 ‘차근차근 천천히’ 《논어》에 다가가도록 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매일 한 편씩 사자의 《논어》를 머리만이 아닌 마음에 담아 둠으로써 석 달여의 100일 동안 이 책을 곁에 두고 읽기를 바랐다. 무엇이든 급하게 먹으면 체하는 법. 한 세기가 25번 계속되는 동안 인류가 그토록 가까이 두었던 지혜의 보고를 천천히 곱씹으며 소화하는 데 이만한 책이 없을 것이다.

Marc 보기

시설이용현황
리더 00629nam a2200241 k 4500
TAG IND 내용
001 KMO202101113
005 20210407112358
008 210304s2020 ulk 000a kor
020 9791161727707 03140: \22000
035 (145077)KMO202102541 UB20210039232
040 145077 145077 148238
056 148.3 26
090 148.3 최64사
245 20 (큰글자도서)사자논어 100선 큰글자도서/ 최영갑, 김용재, 진성수
260 서울: 풀빛, 2020
300 320 p.; 25 cm
653 논어 천문학 사자소학 사자논어 큰글자 큰글씨 대활자
700 1 최영갑 김용재 진성수
950 0 \22000
049 0 HM0000066516 큰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