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상세페이지

KDC : 594.04
도서 성스러운 한 끼 : 아라비아의 디저트부터 산사의 국수까지, 맛과 믿음의 음식인문학
marc 보기

소장정보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신청
SM0000081813 시립 종합자료실 대출가능 - 예약불가 상호대차

상세정보

기독교(가톨릭/개신교), 불교, 정교회, 이슬람교, 유대교, 힌두교, 자이나교 등 종교와 음식에 관한 39편의 흥미진진한 지식교양서. 부활절 식탁, 산사의 국수, 아라비아의 디저트, ‘최후의 만찬’ 빵 논쟁, 할랄과 코셰르, 사찰음식… 맛과 종교의 실크로드를 종횡무진 누비는 음식인문학의 세계로 초대한다. 먹음직스럽고 ‘성스러운(?)’ 음식 사진들과 함께, 신문사 문화부 기자가 수년 동안 방대한 자료를 섭렵해가며 직접 취재하고 먹어보고 쓴 발랄한 글쓰기가 돋보인다. 가톨릭 신자는 왜 금요일에 물고기를 먹나? 소시지는 왜 교회를 화나게 했을까? 버터는 어떻게 종교개혁의 불씨가 되었나? 눈물로 빚은 사찰 음식, 두부에 담긴 사연은? 아라비아는 어떻게 디저트의 천국이 되었을까? 프란체스코 교황을 비롯해 전현직 교황들이 좋아했던 음식은? 이브를 유혹한 선악과는 토마토였다? 성경 속의 최음제, 사랑의 묘약인가 악마의 식물인가? 이스라엘의 맥도날드에서 치즈버거를 팔지 않는 이유는? 스님의 수행을 해치는 다섯 가지 매운맛, 비건을 넘어 궁극의 채식주의를 실천하는 자이나교도의 믿을 수 없는 이야기 등 ‘너무나 종교적인, 너무나 세속적인’ 흥미로운 이야기가 가득하다. 또한 넷플릭스 다큐멘터리 프로그램 에 소개된 이후 글로벌 스타가 된 정관 스님 인터뷰, 임실 치즈로 지난 60년간 불모의 땅에서 기적을 일궈낸 벨기에인 신부님(지정환 신부님)의 생애 마지막 시기 인터뷰, 라마단 기간의 성대한 저녁 만찬 ‘이프타르’ 체험기, 유대교의 안식일 상차림을 직접 체험해본 한국의 랍비 가정 방문기, 신부님들이 보신탕을 좋아하게 된 사연(구한말 천주교 전래의 역사), ‘금주’가 한국 개신교의 징표가 된 역사적 연원, 한중일 삼국의 사찰음식 비교 등 직접 발로 뛰면서 취재한 생동감 넘치는 글이 때로는 유쾌하게, 때로는 심금을 울리며 깊은 여운을 남긴다.

Marc 보기

시설이용현황
리더 00658nam a2200229 k 4500
TAG IND 내용
001 KMO202003954
005 20200730155615
008 200530s2020 ggka 000a kor
020 9788974830250 03900: 16000
035 (121014)KMO202006021 UB20200296058
040 121014 121014 148100
056 594.04 26
090 594.04 18
245 00 성스러운 한 끼: 아라비아의 디저트부터 산사의 국수까지, 맛과 믿음의 음식인문학/ 박경은 지음
260 파주: 서해문집, 2020
300 308 p.: 삽화; 20 cm
536 이 책은 관훈클럽신영연구기금의 도움을 받아 저술, 출판됨
653 종교음식 세계음식문화 사찰음식 코셰르 할랄 음식 성스러운 한끼 식문화
700 1 박경은
950 0 \16000
049 0 SM00000818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