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상세페이지

KDC : 810.81
도서 이상화 문학전집 : 새로 발굴한 정본
  • 저자사항 이상규 엮음
  • 발행사항 하남 : 박이정, 2023
  • 형태사항 612 p. : 삽화, 초상 ; 23 cm
  • 일반노트 권말부록: 민족시인 이상화고택보존운동 본부 결성 등
  • ISBN 9791158488956
  • ㆍ소장기관 통영시립도서관
marc 보기

소장정보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신청
SM0000097554 시립 종합자료실 대출가능 - 예약불가 상호대차

상세정보

1920년대 이상화는 가장 앞서서 문예사조를 수용하면서도 가장 토속적인 화법으로 자유시 형식을 시험하고 심미적인 은유와 상징으로 시를 쓴 시인이다. 1927년 이후 죽기까지 이상화의 문학 활동에는 공백기가 있었다. 이때의 삶을 추적하는 것은 이상화 연구에 중요한 쟁점이다. 그는 이 기간 일제에 저항하기 위해 대구지역을 중심으로 문화예술 활동을 했고, 조국광복을 위한 의혈단과 연계한 대구신간회 그리고 근우회 활동을 비롯한 교육 운동을 통해 나라를 위한 일관된 삶을 살았다. 이 책은 그의 삶과 시 텍스트의 오류를 바로잡고 이상화문학전집의 정본화를 꾀하기 위해 최근 새로 발굴된 귀중한 자료를 모았다. 〈새로 발굴한 작품〉 이번 전집에는 새로 발굴한 『삼천리』에 실린 이상화의 〈나의 침실로〉의 축약 시, 『동아일보』에 실린 동요 1편, 이상화 작으로 알려진 구전 〈망향가〉가 추가되어 총 72편이 되었다. 번역소설은 〈노동-사-질병〉이 추가되어 6편, 문학평론도 『중외일보』에 실린 〈문단제가의 견해〉(중외일보 1928. 6.30)가 추가되어 총13편, 수필 및 기타가 『조선중앙일보』에 실린〈민간교육 특질은 사재간 거리〉(조선중앙 1935.1.1.)와 〈이상화의 사진과 육필자료〉라는 글이 추가되어 12편으로 늘어났다. 또한 새로 발굴한 편지와 문서 24편도 소개했다. 이 책은 이상화를 연구하거나 사랑하는 사람들에게 이정표가 될 만한 이상화 문학텍스트의 총결산이다.

Marc 보기

시설이용현황
리더 00797nam a2200301 c 4500
TAG IND 내용
001 KMO202402346
005 20240523142550
007 ta
008 230728s2023 ggkac 000 vdkor
020 9791158488956 03810: \38000
035 (144012)KMO202301617 UB20230223091
040 144012 144012 011001 148100
052 01 810.81 23-46
056 810.81 26
090 810.81 38
245 00 이상화 문학전집 : 새로 발굴한 정본 / 이상규 엮음
260 하남 : 박이정, 2023
300 612 p. : 삽화, 초상 ; 23 cm
500 권말부록: 민족시인 이상화고택보존운동 본부 결성 등
504 참고문헌과 "이상화 연보" 수록
600 18 이상화, 1901-1943, 李相和
650 8 한국 문학 한국 시 개인 문집
700 1 이상규, 1953-, 李相揆
950 0 \38000
049 0 SM00000975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