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상세페이지

KDC : 420
도서 (세상에서 가장 쉬운 과학 수업) 불확정성원리 : 노벨상 수상자들의 오리지널 논문으로 배우는 과학
  • 저자사항 정완상 지음
  • 발행사항 서울 : 성림원북스 : 성림북스, 2023
  • 형태사항 288 p. : 삽화, 도표, 초상 ; 22 cm
  • ISBN 9791193357194
  • ㆍ소장기관 통영시립도서관
marc 보기

소장정보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신청
SM0000097481 시립 종합자료실 대출가능 - 예약불가 상호대차

상세정보

미시 세계 탐구의 관문, 양자역학의 문을 연 불확정성원리 과학의 새로운 시대를 불러온 혁명적인 논문 속으로! 〈노벨상 수상자들의 오리지널 논문으로 배우는 과학〉 시리즈 다섯 번째 책. 양자역학의 문을 연 하이젠베르크의 불확정성원리를 중심으로 양자역학의 탄생 과정을 자세히 다룬다. 논문을 풀어가며 수식을 외면하지 않되, 이론의 역사적 배경들과 함께 자연스럽게 이해를 돕는다. 1924년부터 1926년까지 3년 동안은 양자역학이 형성되는 시기로 훌륭한 이론 물리학자들이 대거 등장한다. 이 책에서는 1924년 드브로이의 물질파 논문, 1925년 하이젠베르크의 불확정성원리 논문, 1925년 보른과 요르단의 불확정성원리 논문, 1926년 슈뢰딩거의 슈뢰딩거 방정식 논문에 관한 내용을 차례로 소개한다. 독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먼저 광학의 역사로 이야기를 시작했다. 빛이 입자인가 파동인가의 논쟁은 아주 긴 시간 이어져 왔다. 그 종지부를 찍은 드브로이의 물질파 이론은 이듬해 하이젠베르크가 불확정성원리 논문을 발표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 하이젠베르크와 거의 비슷한 시기에 불확정성원리를 연구한 보른과 요르단의 이야기도 곁들였다. 또한 대학교 2학년 때 배우는 푸리에 급수, 해석역학의 역사를 고등학교 수준의 수학으로 설명하여 책에 전개된 논문의 이해를 도왔다. 이 책을 통해 양자역학 초기 영웅들의 이야기를 그들의 논문과 함께 살펴보면서 노벨 과학상을 꿈꾸는 우리의 마음가짐이 어떠해야 할지 되새기는 기회가 될 것이다.

Marc 보기

시설이용현황
리더 00773nam a2200289 c 4500
TAG IND 내용
001 KMO202402290
005 20240522163728
007 ta
008 240103s2023 ulkacd 000 kor
020 9791193357194 03400: \22000
035 (111467)KMO202307429 UB20230393865
040 111467 111467 011001 148100
041 0 kor eng
052 01 420 24-1
056 420 26
090 420 68
245 20 (세상에서 가장 쉬운 과학 수업) 불확정성원리 : 노벨상 수상자들의 오리지널 논문으로 배우는 과학 / 정완상 지음
260 서울 : 성림원북스 : 성림북스, 2023
300 288 p. : 삽화, 도표, 초상 ; 22 cm
504 참고문헌 수록
546 본문은 한국어, 영어가 혼합수록됨
650 8 양자 역학 물리학
700 1 정완상, 1962-, 鄭玩相
950 0 \22000
049 0 SM00000974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