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상세페이지

KDC : 497
도서 우리 물고기의 생물다양성 탐구
marc 보기

소장정보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신청
SM0000087286 시립 종합자료실 대출가능 - 예약불가 상호대차

상세정보

1장에서는 생물다양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생태계의 구성과 역할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수중 생태계를 대표하는 물고기의 형태와 분류 개념, 다양한 서식처 및 우리나라 담수어류의 분포 유래와 연구 기록을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진기한 생활습성을 가졌다고 알려진 연어, 뱀장어, 어름치, 열목어, 큰가시고기, 말뚝망둥어, 버들붕어의 생태와 생활사에 관해 서술하였으며, 3장에서는 한반도의 귀중한 자연유산이자 우리나라의 고유종인 쉬리, 어름치, 감돌고기, 꺽지, 납자루아과 어류, 퉁가리속 어류, 자생종인 송사리와 좀구굴치의 자연사와 연구 배경 등을 간추려 보았다. 4장에서는 사람들에게 아름다움과 친근감을 전해주는 쏘가리, 은어, 황복, 메기, 미꾸리, 잉어와 붕어, 피라미, 갈겨니, 참갈겨니의 형태와 생태, 그리고 우리 일상생활과 관련된 내용을 살펴보았다. 5장에서는 저자가 물고기 연구를 시작한 동기와 물고기의 반문 변이에 대한 호기심에서 출발한 연구로 처음 찾아낸 신종 어류인 참종개, 왕종개, 부안종개, 미호종개, 좀수수치의 탐구 과정과 관련된 이야기를 정리하였다. 그리고 6장에서는 낙동강에서 찾아낸 기름종개-왕종개 암컷 잡종집단의 신기한 잡종 생식 방법을 국제학회에 보고한 내용을 기록하였으며, 공동연구를 통해 발표한 신종 동방종개, 북방종개, 기름종개, 줄종개, 얼룩새코미꾸리의 조사 내용 역시 기재하였다. 더불어 분자생물 학적 연구로 우리 물고기의 분류 문제점을 검토하여 새로운 체계로 제시하고, 미꾸리과 어류의 분자유전학적 연구에 근거하여 분화연대를 추정한 논문의 내용을 요약하였다. 아울러 지리적 분단분포와 종분화 이론을 적용하여 그들의 계통 관계를 정리하였다. 7장에서는 우리나라의 담수어류가 처한 멸종위기의 현황과 그 원인을 알아보고, 4대강 사업으로 인한 어류의 다양성 손실과 문제점, 그리고 남아 있는 생물다양성의 보고인 자연 습지와 갯벌 보존의 중요성을 설명하였다. 마지막으로는 국외의 대형 댐 운영 사례와 복원에 관한 내용을 살펴보면서, 오염과 개발로 죽어가던 전주천을 쉬리가 살 수 있는 하천으로 재자연화시킨 사례를 소개하고 생태적 위기를 극복하는 방안을 생각하였다.

Marc 보기

시설이용현황
리더 00646nam a2200253 c 4500
TAG IND 내용
001 KMO202104218
005 20211222172814
007 ta
008 211222s2021 ulk 000 kor
020 9791158083267 93490: \22000
035 (147037)KMO202102877 UB20210360797
040 147037 147037 148100
056 497 25
090 497 4
245 00 우리 물고기의 생물다양성 탐구/ 김익수 지음
260 파주: 자유아카데미, 2021
300 264 p.: 천연색삽화; 23 cm
490 10 석학, 과학기술을 말하다; 41
653 물고기 생물다양성 한국과학기술한림원 과학기술
700 1 김익수
830 0 석학, 과학기술을 말하다; 41
950 0 \22000
049 0 SM00000872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