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상세페이지

KDC : 833.6
도서 그래서 죽일 수 없었
  • 저자사항 잇폰기 도루 지음 ;
  • 발행사항 서울 : 검은숲 : 시공사, 2021
  • 형태사항 343 p. ; 19 cm
  • 일반노트 검은숲은 시공사의 브랜드임 원저자명: 一本木透
  • ISBN 9791165795924
  • 주제어/키워드 그래 없었
  • ㆍ소장기관 통영시립충무도서관(죽림)
marc 보기

소장정보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신청
HM0000069299 충무 종합자료실 대출가능 - 예약불가 상호대차

상세정보

“또 다른 살인을 막고 싶다면, 나와의 설전에서 이겨라!” 연쇄 살인범과 신문 기자가 펼치는 충격과 전율의 지면 대결 제27회 아유카와 데쓰야 우수상을 수상한 휴먼 미스터리 걸작! “필력이 아주 좋고 완성도도 높은 미스터리 작품.” (가노 도모코) “플롯이 치밀하고 문장력도 대단하다.” (기타무리 가오루) “끝까지 흐트러지지 않는 문장력도 이 작품의 뛰어난 특색.” (쓰지 마사키) 신인답지 않은 필력으로 심사위원들에게 높은 평가를 받으며 제27회 아유카와 데쓰야 우수상을 수상한 데 이어, 2019년 출간과 동시에 대중의 관심을 사로잡았던 휴먼 미스터리 걸작 《그래서 죽일 수 없었다》가 국내에 번역 출간되었다. 수도권에서 세 건의 연쇄살인사건이 발생했으나 결정적인 단서는 없고 발생 지역도 제각기 달라 합동수사에 난항을 겪는 가운데, 살인사건의 진범이라 주장하는 ‘백신’이 신문 기자에게 도전장을 던지며 이야기가 시작되는 《그래서 죽일 수 없었다》는 무엇보다 언론 보도에 관한 생생하고 현실감 넘치는 서술이 압권인 작품이다. 본격적인 인터넷 시대의 도래와 함께 악화일로를 걷고 있는 종이매체 산업. 작품 속 일본의 주요 신문사 〈다이요 신문〉도 예외는 아니다. 경영 환경의 악화로 젊은 세대를 겨냥한 콘텐츠, 디지털 회원의 확보 등에 관한 주장이 있는가 하면, 주총에서는 경영진 교체의 가능성이 조심스럽게 언급되는 상황에서 ‘백신’의 도발은 신문사에 새로운 전환점을 마련해준다. 인간을 마땅히 제거해야 할 바이러스라 규정하고 무차별 살인에 관한 자신만의 살인 철학을 관철해나가는 ‘백신’에 대항하여, 기자 잇폰기 도루는 범인에 대한 단서를 얻기 위해 반박 논리를 제시하고 ‘백신’을 도발하며 팽팽한 긴장감을 구축해나간다. 때마침 경영난을 겪던 〈다이요 신문〉도 범죄를 경영에 적극 활용하면서 최저점을 향해가던 구독자 수도 V자 곡선을 그리며 급상승하는데……. 아유카와 데쓰야 우수상을 받을 당시 완성도와 작품성에서 조금도 손색없다는 평을 받았던 《그래서 죽일 수 없었다》는 현대인의 비인간성을 설득력 있게 폭로하는 한편, 인간의 내면을 통찰력 있게 그려냈다는 점에서 요코야마 히데오와 이케이도 준을 잇는 젊은 사회파 미스터리 작가가 새롭게 등장했다는 기대감을 선사했다.

Marc 보기

시설이용현황
리더 00917nam a2200361 c 4500
TAG IND 내용
001 KMO202103893
005 20211014165236
007 ta
008 210804s2021 ulk 000 k kor
020 9791165795924 03830: \14300
035 (111491)FMO202102571 UB20210155408
040 111491 111491 011001 148238
041 1 kor jpn
052 01 833.6 21-177
056 833.6 26
082 01 895.636 223
090 833.6 잇895그
245 00 그래서 죽일 수 없었다 / 잇폰기 도루 지음 ; 김은모 옮김
246 19 だから殺せなかった
260 서울 : 검은숲 : 시공사, 2021
300 343 p. ; 19 cm
500 검은숲은 시공사의 브랜드임 원저자명: 一本木透
546 일본어 원작을 한국어로 번역
650 8 일본 현대 소설 추리 소설
653 그래 죽 없었
700 1 잇폰기 도루, 1961- 김은모, 1982-
900 10 일본목투, 1961-, 一本木透
950 0 \14300
049 0 HM00000692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