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상세페이지

KDC : 381.75
도서 고기의 인문학 : 미안하고 불안하지만 을 수 없는 고기의 매력이 만든 역사
marc 보기

소장정보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신청
EM0000096394 c.2 꿈이랑 맛있는 서재(미각) 대출가능 - 예약불가 상호대차

상세정보

우리 민족은 어떤 고기를, 어떻게 먹어왔을까? 한식의 중심 밥을 다룬 《밥의 인문학》, 한국인의 생명줄 나물을 다룬 《채소의 인문학》의 저자 호서대 정혜경 교수가 고기를 통해 본 한국인의 역사 『고기의 인문학』. 유례없이 풍요롭게 고기를 즐길 수 있게 된 지금, 우리는 과연 고기를 잘 먹고 있을까? 저자는 공장식 축산의 폐해와 환경 파괴를 극복할 고기문화의 미래가 우리 조상들이 고기를 먹어온 방식 속에 있다고 이야기하며 선사 시대부터 일제강점기까지의 고기 역사를 살펴본다. 소, 돼지, 닭에 집중된 육식은 여러 가지 문제를 야기해왔다. 쇠고기를 먹기 위해 인간이 먹을 곡물을 사료로 쓰고, 공장식 밀집 사육으로 돼지와 닭을 키우면서 발생하는 비윤리적 동물 학대는 심각하다. 저자는 식량 보장, 환경 보전, 동물복지를 위한 대안이 식용 육류의 종류를 다양화하는 것은 아니겠지만, 희소한 육류 자원을 조금이라도 잘 활용하려고 했던 조상들의 지혜를 되살릴 필요가 있다고 이야기한다. 우리 조상들은 꿩과 메추라기, 토끼와 사슴 등 다양한 고기를 사육해서, 또 사냥해서 먹었고, 조금이라도 더 맛있게 먹기 위해 수많은 조리법을 발달시켰는데, 저자는 살코기 자체를 즐기는 것이 아니라 해산물 및 채소를 위주로 하되 고기를 포인트로 음식의 맛을 살리는 조리법이야말로 미래 대안 육식이 될 것이라 주장한다.

Marc 보기

시설이용현황
리더 00879pam a2200301 c 4500
TAG IND 내용
001 KMO202100400
005 20210511212816
007 ta
008 190923s2019 ulkad 000 kor
020 9788998439729 03380: \17000
023 CIP2019037297
035 UB20190333812
040 011001 011001 148038
052 01 381.75 19-17
056 381.75 26
082 01 394.1 223
090 381.75 정94고
245 00 고기의 인문학 : 미안하고 불안하지만 끊을 수 없는 고기의 매력이 만든 역사 / 정혜경 지음
260 서울 : 따비, 2019
300 335 p. : 삽화, 도표 ; 22 cm
504 참고문헌: p. 330-335
536 2018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음(NRF-2016S1A3A2924243)
650 1998011104 식문화 고기(육류)
653 고기 인문학 미안 불안하지 끊 없 매력 만 역사
700 1 정혜경, 1957-, 鄭惠京
950 0 \17000
049 0 EM0000096394 2 미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