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상세페이지

KDC : 701.7
도서 문화 번역과 주디스 버틀러의 이론적 프레임
  • 저자사항 정혜욱 지음
  • 발행사항 서울 : 3, 2020
  • 형태사항 349 p. : 삽화, 초상 ; 23 cm
  • ISBN 9791187746379
  • 주제어/키워드 문화 번역 주디스 버틀러 이론적 프레임
  • ㆍ소장기관 통영시립충무도서관(죽림)
marc 보기

소장정보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신청
HM0000063563 충무 종합자료실 대출가능 - 예약불가 상호대차

상세정보

주디스 버틀러는 〈젠더 트러블〉(1990)을 출판하면서 세계적으로 유명해졌기에, 주로 페미니즘이나 젠더이론가로 분류된다. 그러나 버틀러가 ‘젠더와 성’에만 관심 있는 학자로서 생각하는 것은 그녀의 이론의 절반만을 이해하는 것이다. 2001년의 9/11 사태를 전후하여 버틀러는 젠더구분을 너머서 모든 취약하고 위태로운 삶들에 주목하기 시작했다. 오늘날과 같은 불안과 혐오의 시대에 사람들은 “내 삶도 힘들고 고달픈데 왜 가난한 이웃까지 돌보아야하는가?”라고 외치기 쉽지만, 버틀러는 “나의 고달픈 삶, 혹은 나의 삶의 고난과 위기가 다른 상처받은 이웃과 어떻게 이어져있는가”에 대해 성찰해야한다고 주장한다. 다시 말해 내 고단한 삶의 프레임을 너와 더불어 깨뜨리기 위하여, 화석화된 문화 규범에 의문을 제기하고, 그것을 다시 쓰고자하는 것이 문화번역의 과제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 책은 문화번역이 버틀러의 저작 속에서 어떤 의의를 갖는지, 주디스 버틀러의 문화번역의 의미와 그 과제는 무엇인지를 살폈고, 문화번역이 기존의 번역연구와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 보여주기 위해 1장과 2장에서 번역과 문화번역의 역사와 의미를 간략하게 소개했다.

Marc 보기

시설이용현황
리더 00673nam a2200265 c 4500
TAG IND 내용
001 KMO202002902
005 20200620162700
007 ta
008 200605s2020 ulkac 001 kor
020 9791187746379 93160: \20000
035 UB20200383269
040 011001 011001 148238
052 01 701.7 20-10
056 701.7 26
082 01 418.02 223
090 701.7 정94문
245 00 문화 번역과 주디스 버틀러의 이론적 프레임 / 정혜욱 지음
260 서울 : 3, 2020
300 349 p. : 삽화, 초상 ; 23 cm
504 참고문헌과 색인 수록
650 8 번역
653 문화 번역 주디스 버틀러 이론적 프레임
700 1 정혜욱, 1966-, 鄭惠旭
950 0 \20000
049 0 HM00000635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