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상세페이지

KDC : 321.81
도서 한국의 소득분배 : 추세, 원인, 대책 = Income distribution of Korea : trend, causes and policy recommendations
marc 보기

소장정보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신청
SM0000064356 시립 종합자료실 대출가능 - 예약불가 상호대차

상세정보

한국의 소득분배 문제를 분석하는 데 핵심이 되는 분야를 선정해 각 분야를 대표하는 학자들이 소득분배 악화의 요인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도출한 요인을 바탕으로 앞으로 한국이 소득분배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지 이야기한다. 이 책은 각 분야를 대표하는 여섯 명의 학자들이 모여 오랜 시간 토의와 연구 끝에 내놓은 결과물이다. 각 저자는 여섯 개 장으로 구성된 책의 한 꼭지씩을 맡아 문제를 분석하고 대안을 제시한다. 제1장 ‘한국의 소득분배, 무엇이 문제인가’에서 서강대학교 조윤제 교수는 이 책을 위해 연구·논의된 내용과 그동안 자신이 진행해온 연구를 기초로 한국 경제의 구조 변화와 소득분배 추세를 분석하고 정책 방향을 제시한다. 제2장 ‘경제·사회 구조와 소득분배’에서 한국개발연구원 윤희숙 박사는 그동안 진행해온 복지와 분배에 관한 연구에 기초해 한국의 소득분배 추세와 변화 요인, 대응 방안을 분석한다. 제3장 ‘산업구조와 소득분배’에서 동국대학교 김종일 교수는 1990년대 이후 산업구조가 어떻게 변화했으며 이에 따라 산업별·직종별 임금 불균등도가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알아본다. 제4장 ‘임금과 소득분배’에서 고려대학교 이장원 박사는 노동 부문을 중심으로 임금 격차 실태를 조사하고 임금 격차를 축소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제5장 ‘재정과 소득분배’에서 홍익대학교 성명재 교수는 지난 20여 년에 걸쳐 다뤄온 가계와 국세, 재정 통계자료에 기초해 인구구조 변화가 소득분배에 미친 영향과 조세·재정지출의 재분배 효과를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제6장 ‘거시경제와 소득분배’에서 한국금융연구원 박종규 선임연구위원은 거시경제적 관점에서 한국의 기업 저축과 근로소득 배분 변화 추세를 분석하고 향후 정책 방향을 제시했다.

Marc 보기

시설이용현황
리더 01122pam a2200385 c 4500
TAG IND 내용
001 KMO201703999
005 20170827151915
007 ta
008 160919s2017 ggkd 001 kor
020 9788946058842 93330: \23000
023 CIP2016017502
035 UB20160166665
040 123001 123001 148100
052 01 321.81 16-10
056 321.81 26
082 01 339.2 223
090 321.81 6
245 00 한국의 소득분배 : 추세, 원인, 대책 = Income distribution of Korea : trend, causes and policy recommendations / 조윤제; 윤희숙; 김종일; 이장원; 성명재; 박종규 ; 엮은이: 조윤제
260 파주 : 한울아카데미 : 한울엠플러스, 2017
300 253 p. : 도표 ; 24 cm
490 10 한울아카데미 ; 1884
504 참고문헌(p. 243-248)과 색인수록
650 8 소득 분배 한국 경제
653 한국 소득분배 추세 원인 대책 INCOME DISTRIBUTION KOREA TREND CAUSES POLICY RECOMMENDATIONS 한울아카데미
700 1 조윤제 윤희숙 김종일 이장원 성명재 박종규
830 0 한울아카데미 ; 1884 한울아카데미 (한울아카데미 )
950 0 \23000
049 0 SM00000643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