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상세페이지

KDC : 470.2 388.611
도서 명태가 노가리를 까니, 북어냐 동태냐 : 속담, 고사성어, 관용구
marc 보기

소장정보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신청
SM0000055407 시립 종합자료실 대출가능 - 예약불가 상호대차

상세정보

‘우리말에 깃든 생물 이야기’ 시리즈 네 번째『명태가 노가리를 까니, 북어냐 동태냐』. 미주알고주알의 ‘미주알’은 항문을 이루는 창자의 끝부분을 말하며, 꼴뚜기의 ‘꼴’이 모습이라면 ‘뚜기’는 함경도 방언으로 ‘무식’이라는 뜻이다. 집 나간 며느리도 돌아온다는 전어는 가을을 제하면 찬밥신세가 되니, “한여름에 잡히는 전어는 개돼지도 먹지 않는다”고 했다. 갈치의 ‘치’는 낮잡아 부르는 비어로 ‘저치’ ‘양아치’처럼 쓰니 ‘치’가 드는 생선은 제사상에 올리지 않았다 이처럼 옛사람들의 재치와 해학이 배인 우리말을 자세히 살펴보면 생물의 특징과 우리말의 어원을 훨씬 쉽게 이해할 수 있다.

Marc 보기

시설이용현황
리더 00849pam a2200313 c 4500
TAG IND 내용
001 KMO201600740
005 20160323145417
007 ta
008 160215s2016 ulka 000 kor
020 1 9788978893121 04470: \14500 9788978892759 (세트)
023 CIP2016000807
035 UB20160005716
040 011001 011001 148100
052 01 470.2 16-1
056 470.2 388.611 26
082 01 570.2 398.9957 223
090 470.2 1
245 00 명태가 노가리를 까니, 북어냐 동태냐 : 속담, 고사성어, 관용구 / 지은이: 권오길
260 서울 : 지성사, 2016
300 281 p. : 삽화 ; 19 cm
490 10 우리말에 깃든 생물이야기 ; 04
650 8 생물 속담
653 명태 노가리 까 북어 동태 속담 고사성어 관용구 우리말 깃 생물이야기
700 1 권오길, 1940-
830 0 우리말에 깃든 생물이야기 ; 04
950 0 \14500
049 0 SM00000554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