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상세페이지

KDC : 379.3
도서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과 다문화교육 =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multicultural education
marc 보기

소장정보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신청
SM0000052971 시립 종합자료실 대출가능 - 예약불가 상호대차

상세정보

문화적 배경이 다른 화자들과 의사소통하면서 그들의 가치, 신념, 규준, 사회적 관습 등을 이해하고 공감해야 한다. 따라서 시대적·사회적 요구를 바탕으로 학습자의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다문화교육의 목표, 내용, 교수-학습 방법, 평가 등을 제대로 구축해야 한다. [문화 간 의사소통능력과 다문화교육]은 핵심역량과 다문화교육의 목표 및 모형,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 기반 다문화교육의 실러버스 및 평가 등 3부로 나누어져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학습자들에게 요구하는 핵심역량과 문화적 특성을 살펴본 후 다문화교육의 목표 및 모형을 구축한다.

Marc 보기

시설이용현황
리더 00970nam a2200313 c 4500
TAG IND 내용
001 KMO201503422
005 20150804141038
008 150512s2015 ulka 001 kor
012 KMO201520206
020 9788968172175 93740: \20000
035 (011001)KMO201520206 UB20150120492
040 011001 011001 148100
041 0 kor eng
052 01 379.3 15-4
056 379.3 26
090 379.3 4
245 00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과 다문화교육 =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multicultural education / 김진석 지음
260 서울 : 한국문화사, 2015
300 vii, 388 p. : 삽화 ; 23 cm
500 권말부록 수록
504 참고문헌(p. 272-291)과 색인수록
536 2013년도 서울교육대학교 교내연구비에 의해 연구됨
546 본문은 한국어, 영어가 혼합수록됨
650 8 다문화 교육
653 문화 의사소통 능력 다문화교육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MULTICULTURAL EDUCATION
700 1 김진석, 1963-
950 0 \20000 기증
049 0 SM00000529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