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상세페이지

KDC : 309.111
도서 혼종의 나라 : 왜 우리는 열하고 뒤섞이며 확장하는가
  • 저자사항 문소영 지음
  • 발행사항 서울 : 은행나무, 2024
  • 형태사항 267 p. : 천연색삽화, 초상 ; 21 cm
  • ISBN 9791167374028
  • 주제어/키워드 혼종 나라 우리 분열 뒤섞 확장하
  • ㆍ소장기관 통영시립충무도서관(죽림)
marc 보기

소장정보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신청
HM0000080160 신착도서 (2층) 대출가능 - 예약불가 상호대차

상세정보

“혼종은 혁신적 탄생의 원천이다!” 돈, 손절과 리셋, 반지성주의, 하이브리드 한류, 신개념 전통, 일상의 마이크로 정치, 포스트 코로나와 인공지능 7개의 키워드로 바라본 이상하고 아름다운 한국 문화 “정상과 규범, 욕망과 금기의 영역이 사라진 그곳에서 혼종성이 쏟아낸 ‘체제의 토사물’을 찬찬히 응시하라!” _송호근 사회학자, 한림대학교 석좌교수 추천 왜 요즘 이런 게 좋아 보일까? 나도 미처 몰랐던 ‘취향의 이유’, 바로 이 책에 답이 있다! * 〈내 남편과 결혼해줘〉, 〈재벌집 막내아들〉 같은 회귀·빙의·환생물이 인기인 이유는? * 〈기생충〉과 〈오징어 게임〉은 정말 ‘한국적’이어서 세계인들을 사로잡았나? * 왜 요즘 사람들은 ‘의절’ 대신 ‘손절’을 할까? * 미술관은 어떻게 영화관을 누르고 데이트 ‘핫플’에 등극했을까? * 전통 창살무늬에 샹들리에… 청와대 인테리어에서 드러나는 특성은 무엇일까? 《명화독서》, 《그림 속 경제학》 등 예술이 우리의 일상과 교차하는 지점을 읽어내온 문화 전문 저널리스트 문소영이 한국 문화를 ‘혼종’이라는 콘셉트 아래 7개의 키워드로 구분해 바라본 책이다. 영화, 드라마, 예능, 미술 등 다양한 시각문화와 사회적 이슈 등 일상의 이면에 질문을 던지고 그것들에 숨겨진 오늘의 한국 사회와 한국인의 특징들을 포착하는 이 책은 〈중앙일보〉 칼럼 ‘문화가 암시하는 사회’에 인기리에 연재해온 내용을 묶어 보완한 것이다. 저자는 개인과 세대, 나아가 우리 사회와 전 세계가 열광하는 한국의 문화의 트렌드를 꿰뚫는 하나의 단어로 ‘혼종hybrid’을 꼽는다. 탈식민주의 학자 호미 바바는 제국의 영향을 받은 식민지 문화가 다양성과 잠재력을 키워 결국 문화권력을 전복할 수 있음을 설명하는 데 이 개념을 사용했는데, 저자는 이를 한국 문화를 관통하는 핵심으로 소환해 우리를 둘러싼 사회 곳곳의 문화적 현상을 명쾌하게 분석해낸다.

Marc 보기

시설이용현황
리더 00715nam a2200265 c 4500
TAG IND 내용
001 KMO202402110
005 20240523192935
007 ta
008 240513s2024 ulkac 000 kor
020 9791167374028 03300: \20000
035 (141082)KMO202402013 UB20240092021
040 141082 141082 011001 148238
056 309.111 26
090 309.111 문55혼
245 00 혼종의 나라 : 왜 우리는 분열하고 뒤섞이며 확장하는가 / 문소영 지음
260 서울 : 은행나무, 2024
300 267 p. : 천연색삽화, 초상 ; 21 cm
650 8 한국 사회 한국 문화 한국 대중 문화
653 혼종 나라 우리 분열 뒤섞 확장하
700 1 문소영, 1975-, 文昭暎
950 0 \20000
049 0 HM00000801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