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상세페이지

KDC : 911.06
도서 독립운동가, 난민이 되다
marc 보기

소장정보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신청
HM0000079867 신착도서 대출가능 - 예약불가 상호대차

상세정보

그들은 독립운동가였습니다 그리고 나라를 잃은 난민이었습니다 나고 자란 곳을 떠나 낯선 나라에서 독립을 외쳐야 했던 난민이 된 독립운동가들의 이야기 1910년 우리나라는 일본에 나라를 빼앗겼습니다. 그날로 우리나라 사람들은 한순간에 나라 잃은 난민이 되었습니다. 1945년 해방 전까지, 무려 35년 동안 말입니다. 여기, 우리나라를 되찾기 위해 끝까지 싸운 독립운동가들이 있습니다. 그들은 조국을 잃었기에 우리나라를 떠나 다른 나라에 정착해야만 했습니다. 일본의 감시를 피하기 위해, 조금 더 자유롭게 독립운동을 하기 위해, 인간다운 삶을 살기 위해 말이죠. 중국에서 비행사가 된 권기옥, 미국에 한인 노동자 캠프를 세운 안창호, 만주에 신흥 무관 학교를 설립한 이회영, 상하이에서 독립운동을 이끈 김구, 카자흐스탄으로 강제 이주된 홍범도, 러시아에서 조선인을 변호한 최재형, 만주에서 무장 독립운동을 한 남자현, 시베리아 벌판을 달린 김경천. 독립운동가이자 난민이었던 그들. 말도 통하지 않는 곳에서 그들은 난민으로서 수많은 어려움을 겪어야 했습니다. 우리나라에 있었더라면, 다른 나라에 조국을 빼앗기지 않았더라면, 겪지 않았을 일들을 말이죠. 나고 자란 곳을 떠나 낯선 나라에서 독립을 외쳐야 했던 난민이 된 독립운동가들의 이야기를 들어 봅니다.

Marc 보기

시설이용현황
리더 01359nam a2200385 c 4500
TAG IND 내용
001 KMO202402309
005 20240523104943
007 ta
008 240502s2024 ulkac b 000 dkor
020 9791161726632 73910: \13000
035 (148047)CMO202401333 UB20240067505
040 148047 148047 011003 148238
052 01 911.06 24-4
056 911.06 26
090 911 이67독
245 00 독립운동가, 난민이 되다 / 이은정 글 ; 이강훈 그림
260 서울 : 풀빛, 2024
300 132 p. : 삽화(일부천연색), 초상 ; 21 cm
505 00 중국에서 비행사가 된 '권기옥' --. 미국에 한인 노동자 캠프를 세운 '안창호' --. 만주에 신흥 무관 학교를 세운 '이회영' --. 상하이에서 독립운동을 이끈 '김구' --. 카자흐스탄으로 강제 이주된 '홍범도' --. 러시아에서 조선인을 변호한 '최재형' --. 만주에서 무장 독립운동을 한 '남자현' --. 시베리아 벌판을 달린 '김경천'
650 8 독립 운동가 일제 강점기
653 독립운동 난민 되 중국 비행사 권기옥 미국 한인 노동자 캠프 세운 안창호 만주 신흥 무관 학교 이회영 상하이 이끈 김구 카자흐스탄 강제 이주된 홍범 러시아 조선인 변호한 최재형 무장 남자현 시베리 벌판 김경천
700 1 이은정 이강훈, 1973-
740 02 중국에서 비행사가 된 '권기옥' 미국에 한인 노동자 캠프를 세운 '안창호' 만주에 신흥 무관 학교를 세운 '이회영' 상하이에서 독립운동을 이끈 '김구' 카자흐스탄으로 강제 이주된 '홍범도' 러시아에서 조선인을 변호한 '최재형' 만주에서 무장 독립운동을 한 '남자현' 시베리아 벌판을 달린 '김경천'
950 0 \13000
049 0 HM0000079867 아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