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상세페이지

KDC : 408
도서 고래가 삼킨 플라스틱 = The plastic that a whale swallowed
marc 보기

소장정보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신청
SM0000094230 v.14 시립 아동자료실 대출가능 - 예약불가 상호대차

상세정보

해양 동물과 인간이 모두 안전하게 살 수 있는 지속 가능한 방법을 생각하는 바다 환경 보고서! 2019년 코스타리카 연안에서 코에 빨대가 꽂힌 바다거북이 발견돼 전 세계가 충격에 휩싸였었습니다. 그로부터 1년이 지났지만, 바다거북은 여전히 플라스틱 쓰레기와 사투를 벌이고 있습니다. 최근 캘리포니아 남부 해변에 떠밀려온 손바닥만 한 크기의 바다거북 배 속에서 104개의 미세플라스틱이 발견되었다고 합니다. 바다로 유입된 플라스틱 쓰레기는 파도에 잘게 부서져 미세 또는 초미세 플라스틱 형태를 띠게 되는데, 바다거북이나 물고기가 이런 플라스틱 조각을 먹이로 오인해 삼켰다가 폐사하는 일이 비일비재하다고 합니다. 플로리다 바다거북관리소는 매년 약 100만 마리의 해양 동물이 플라스틱 쓰레기 때문에 목숨을 잃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유엔환경계획(UNEP)에 따르면 매년 바다로 흘러드는 플라스틱 쓰레기는 800만 톤, 이미 흘러들어간 것만도 1억 톤이 넘는다고 합니다. 2050년이 되면 플라스틱 쓰레기의 무게가 물고기를 뛰어넘을 것이라고 합니다. 2019년 7월 생명다양성재단과 영국 케임브리지대 동물학과가 공동으로 조사한 〈한국 플라스틱 쓰레기가 해양 동물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에서 배출한 플라스틱 쓰레기가 해마다 바닷새 5000여 마리와 바다포유류 500여 마리를 죽게 하는 것으로 나타난다고 합니다. 한국에서 발생한 쓰레기가 먼바다의 생물에게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것은 이번이 처음인데, 연구진은 우리나라 쓰레기의 처리방식을 분석하여 바다까지 퍼져나가는 경로를 분석해서 최종적으로 해양 동물이 어느 정도나 먹게 되는지를 따져본 것이라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해양 동물을 생각할 때 우리와 상관없는 일로 생각하기 쉬운데 여러 연구에서처럼 개개인의 일상생활에서 하는 행동들이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를 해결하는 데도 중요하기에 《고래가 삼킨 플라스틱》을 기획, 출간하였습니다. 우리 모두 함께 공존 공생할 방법을 생각해 보고 일상생활에서 실천해 보는 계기가 되길 바랍니다.

Marc 보기

시설이용현황
리더 00915pam a2200325 c 4500
TAG IND 내용
001 KMO202302887
005 20230726165614
007 ta
008 200302s2020 ggka b 000 kor
020 9788983898395(14) 73530: \12000
023 CIP2020009091
035 (123002)KMO202003663 UB20200226507
040 123002 123002 011003 148100
056 408 26
090 408 78 14
245 00 고래가 삼킨 플라스틱 = The plastic that a whale swallowed / 김남길 글; 마이신 그림
260 파주 : 풀과바람, 2020
300 93 p. : 천연색삽화 ; 25 cm
490 10 풀과바람 환경생각 ; 14
500 유남영의 필명은 "마이신"임
650 8 환경 오염 플라스틱
653 고래 삼킨 플라스틱 PLASTIC WHALE SWALLOWED 풀과바람 환경생각
700 1 김남길, 1968- 유남영, 1975-
830 0 풀과바람 환경생각 ; 14
900 00 마이신, 1975-
950 0 \12000
049 0 SM0000094230 14 S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