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상세페이지

KDC : 340.221
도서 자유의 폭력 : 자유의 최대화와 폭력의 최소화를 위한 철학적 성찰
marc 보기

소장정보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신청
SM0000093273 시립 종합자료실 대출가능 - 예약불가 상호대차

상세정보

신자유주의 시대가 끝나고 인터레그넘의 시기를 겪고 있는 인류의 미래는, 그리고 자유는? 2008년 금융위기와 함께 1970년대부터 40년 가까이 시대정신의 지위를 누렸던 신자유주의가 뇌사 상태에 빠졌다. 그리고 2020년 코로나바이러스 팬데믹과 함께 시대정신으로서 신자유주의에 대한 사망 선고가 내려졌다. 인간에 의한 자연의 약탈과 파괴, 경제적 불평등과 정치적 양극화, 독점 강화와 성장 둔화를 야기했거나 혹은 기여한 것으로 신자유주의가 지목되었다. 하나의 시대정신이 생명을 다한 것이다. 그러나 문제는 새로운 시대정신이 태어난 것도 아니다. 지금 인류는 최고 권력의 공백 상태, 시대정신의 부재 기간, 다시 말해 궐위의 시간인 인터레그넘(interregnum) 상황에 빠져 있다. 신자유주의라는 낡은 이념은 해체되었지만, 그렇다고 그것을 대체할 새로운 이념이 등장하지도 않았다. 안토니오 그람시(Antonio Gramsci)의 말처럼 “위기는 정확히 낡은 것이 죽었는데 새로운 것이 태어나지 않았다는 사실에서 구성된다. 이 인터레그넘 속에 매우 다양한 병적 증상이 나타난다”. 인터레그넘의 위기는 이미 죽은 것이 무덤으로 가지 않고 산 것처럼 활보하고 다닌다는 사실에 있다. 좀비가 된 신자유주의, 곧 좀비-자유주의가 부활의 가능성을 찾아 떠돌고 있다. 인터레그넘은 위기의 공간이면서 동시에 새로운 정치적 공간이다. 이 열린 공간에서 새로운 시대정신을 찾아가는 담론이 생성되어야 한다. 자유의 이념과 폭력은 이 담론을 형성하는 중요한 하나의 주제일 수 있다. 미래의 시대정신이 요구할 자유는 그것의 최대화가 폭력의 최소화를 동반해야 한다는 요구에 부응해야만 한다. 이 요구에 맞추어 저자는 자유 담론을 재구성하고자 한다.

Marc 보기

시설이용현황
리더 00699nam a2200253 k 4500
TAG IND 내용
001 KMO202301217
005 20230419105121
008 230118s2022 ulk 001a kor
020 9788964452639 93100: \50000
035 (124008)KMO202300043 UB20230024979
040 124008 124008 148100
056 340.221 25
090 340.221 3
100 1 박구용
245 10 자유의 폭력: 자유의 최대화와 폭력의 최소화를 위한 철학적 성찰/ 박구용 지음
260 서울: 길, 2022
300 734 p.; 23 cm
440 00 인문정신의 탐구; 27
504 참고문헌 및 색인 수록
653 정치철학 비판이론 자연주의 타자철학 다원주의 보편주의 국가권력 인터레그넘
740 02 자유의 최대화와 폭력의 최소화를 위한 철학적 성찰
950 0 \50000
049 0 SM00000932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