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상세페이지

KDC : 808.9
도서 2100년 12월 31일
marc 보기

소장정보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신청
SM0000092797 v.10 시립 종합자료실 대출가능 - 예약불가 상호대차

상세정보

“지금 시각은 2100년 12월 31일 밤 12시 정각입니다.” 21세기의 마지막 날 벌어지는 네 개의 사건 그날 그 시간 속 십 대들의 이야기를 담은 근미래 앤솔러지 “2100년은 지금 열다섯이 아흔 살 즈음인 해이다. 그때 이 위태로운 행성 지구의 삶은 지금과 얼마나 달라져 있을까?” 『2100년 12월 31일』은 이 질문을 모티브 삼아 멀게 느껴지지만 사실 그리 머지않은 시간, 오늘의 우리 삶과 분명히 이어져 있을 근미래의 이야기를 소설로 담아낸 책이다. 청소년 장르문학을 별처럼 비추는 길상효, 김정혜진, 남유하, 이희영 작가가 가까운 미래에서 현재를 상상할 때만이 가능한 투명하고도 올곧은 시선으로 네 편의 빼어난 이야기를 탄생시켰다. 영아 살해 바이러스가 지구를 뒤덮고, 푸른색을 보면 청색발작을 일으키는 망가진 세상에서 과거로부터 온 모든 것을 증오하는 아이. 행복하고 그리운 기억이 아로새겨진 몸과 마음을 지키고자 마인드 업로딩을 거부하고 신인류 대신 구인류로 남길 선택한 소녀. 최첨단 과학이 인간을 우주로 실어나르는 시대에도 변함없이 일어나는 베일에 싸인 신비한 일들을 믿으며 시간의 지층에 차곡차곡 기억을 쌓아가는 쌍둥이 소년. 미확인 지뢰 구역에서 붉은 여우를 구하다 파손된 후 자신의 존재가 사라지기 전 마지막 티타임을 갖게 된 인간보다 더 인간다운 안드로이드. 작품 속 주인공들은 어쩌면 지금보다도 더 약하고 어린 것들을 밀어내게 될 그 서늘한 세상에서, 희미하지만 강렬한 서로의 온기에 기대어 마침내 희망을 찾아내고야 만다. 『2100년 12월 31일』은 내일의 우리가 오늘의 우리를 안타까워하며 보낸 애틋한 편지와도 같은 책이다.

Marc 보기

시설이용현황
리더 01159nam a2200421 c 4500
TAG IND 내용
001 KMO202301592
005 20230413213828
007 ta
008 230127s2022 ulk d 000 j kor
020 9791167550811(10) 43810: \14000
035 (142011)KMO202203746 UB20220616765
040 142011 142011 011003 148100
056 808.9 26
090 808.9 20 10
245 00 2100년 12월 31일 / 길상효, 김정혜진, 남유하, 이희영 지음
260 서울 : 우리학교, 2022
300 179 p. ; 19 cm
490 10 우리학교 소설 읽는 시간
500 김정혜진은 "김혜진"의 또 다른 이름임 권차번호는 임의로 부여함
505 00 아무 날도 아니어서 / 길상효 --. 멸종위기인간 / 남유하 --. 마디다 / 이희영 --. 미확인 지뢰 구역 / 김정혜진
650 8 한국 단편 소설 청소년 문학
653 2100년 12월 31 우리학교 소설 읽 시간 날도 아니어 멸종위기인간 마디 미확 지뢰 구역 이천백년 십이월 삼십일
700 1 길상효 김혜진 남유하 이희영, 李喜榮
740 02 아무 날도 아니어서 멸종위기인간 마디다 미확인 지뢰 구역
830 0 우리학교 소설 읽는 시간
900 10 김정혜진
940 0 이천백년 십이월 삼십일일
950 0 \14000
049 0 SM0000092797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