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상세페이지

KDC : 609.11
도서 한국 미술 다시 보기. 1 : 1950년대-70년대
marc 보기

소장정보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신청
SM0000092715 v.1 시립 종합자료실 대출가능 - 예약불가 상호대차

상세정보

‘한국 미술 다시 보기’ 시리즈 1권인 『한국 미술 다시 보기1: 1950년대-70년대』는 해방 이후부터 1970년대까지 한국 현대미술을 관통한 가장 중요한 키워드로 ‘전위’(김이순), ‘추상’(신정훈), ‘전통’(송희경), ‘냉전과 국제교류’(정무정)를 제시하면서, 이러한 키워드를 중심으로 당시의 한국 미술과 담론이 어떠한 양상으로 표출되고 굴절‧변화했는지를 검토하고 있다. 김이순의 「무엇이 ‘새로운 미술’인가?: 1950-70년대 미술인들의 전위 인식」은 1950~70년대에 미술가들이 가장 선호하던 용어 중의 하나가 전위였던 데서 알 수 있듯이, 당대 미술인들이 전위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었는지를 살펴보고 있다. 신정훈은 「1950-70년대 한국 미술에서의 추상」에서 추상이 어떻게 현대, 전통, 전위, 제도, 현실, 냉전, 근대화, 모방, 주체 등과 같은 전후 한국 미술의 핵심적인 문제들과 결부되어 구사되고 논의되었는지 고찰한다. 송희경의 「1950-70년대 동양화단의 ‘전통’」은 시기별로 다른 양상으로 나타나는 동양화단의 전통 담론을 당대 문헌 해제를 통해 분석한다. 또한 한국전쟁 이후 한국 미술계는 미국 정부와 민간 재단 주도로 이루어진 전후의 다양한 원조와 문화 교류 프로그램의 여파 속에서 유례없이 빈번한 국제 미술 교류에 노출되는데, 정무정의 「‘냉전’과 ‘국제교류’로 읽어보는 1950-70년대 한국 미술」은 이러한 교류 과정에서 한국 미술가들이 전통과 전위의 관계를 어떤 식으로 모색했는지 살펴보고 있다.

Marc 보기

시설이용현황
리더 00995nam a2200337 c 4500
TAG IND 내용
001 KMO202301143
005 20230310165024
007 ta
008 230310s2022 sjka 000 korOY
020 1 9788965642800(1) 94600: \40000 9788965642794 (세트)
035 UB20230086079
040 011001 011001 148100
052 01 609.11 23-6 1-3
056 609.11 26
082 01 709.519 223
090 609.11 26 1
245 00 한국 미술 다시 보기. 1 : 1950년대-70년대 / 김이순, 송희경, 신정훈, 정무정 엮음
260 문화체육관광부 ; 서울 : 예술경영지원센터 : 현실문화연구, 2022
300 439 p.: 천연색삽화 ; 24 cm
504 참고문헌(p. 428-437)과 "한국 현대미술 연표:1950-70년대" 수록
650 8 한국 미술 한국 미술사
653 한국 미술 보기 1950년대 70년대 한국미술 한국미술사 미술사
700 1 김이순, 1957-, 金伊順 송희경, 1968-, 宋憙暻 신정훈, 1976-, 申政勳 정무정, 1962-, 鄭茂正
740 02 1950년대-70년대
950 0 \40000
049 0 SM0000092715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