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상세페이지

KDC : 811.7
도서 겨울이 복도처럼 길어서 : 이기린 시집
  • 저자사항 이기린 지음
  • 발행사항 서울 : b, 2022
  • 형태사항 142 p. ; 20 cm
  • ISBN 9791189898793
  • 주제어/키워드 겨울 복도 길어 이기린 시집 B판시
  • ㆍ소장기관 꿈이랑도서관
marc 보기

소장정보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신청
EM0000100342 꿈이랑 맛있는 서재 대출가능 - 예약불가 상호대차

상세정보

이기린 시인의 두 번째 시집 〈겨울이 복도처럼 길어서〉가 출간되었다. 4부로 나뉘어 55편의 시가 담겼다. 이기린의 첫 시집 〈,에게〉(포지션, 2017)에서 시인이 보여준 세계를 평론가 남승원은 “결손의 구조”로 분석했다. “의지는 사라지고 당위만 남아 하루하루 지속되는 우리의 일상 속으로 끝없는 질문들을 끌어들”이는 시라고 했다. 삶의 결핍을 발견하는 예민함이 전체를 상상하는 힘에서 나오고, 고정된 의미를 무너뜨리며 가능성을 창출한다는 것이다. 이번 시집 〈겨울이 복도처럼 길어서〉의 해설에서 평론가 김지윤은 “아무것도 해명하지 않으면서 세계의 신비를 보여준다는 것이 무엇인지, 시인은 이해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고 말하면서, “세상의 모든 것들이 어떻게 ‘자신이 다르다는 것을 인지하는 것의 기쁨’, 니체가 말한 ‘차이의 향유(la jouissance de la difference)’를 느끼는지를 탐구”하고 있다고 말한다. 한편 이 시집의 추천사에서 시인 문태준은 “‘나’라는 존재 너머를 예민하게 상상할 때 최고조에 이른다. …… 이질적인 것을 넘고, ‘나’가 너희와 같은 부류임을 끈질기게 사유하”고 있다고 말한다. 이기린의 시를 읽는 이들에게서 나오는 ‘결손’, ‘차이’, ‘이질적인 것’ 등의 시적 개념들이 의미하는 바는 무엇인지를 상상하면서 이 시집을 읽어본다면 어떨까. 세계는 무수한 다름(결손, 차이, 이질적인 것)들의 집합체다. 주체의 고정된 인식에 기반해서 만나는 대상들과의 차이가 있으며 또 대상들이 주체의 인식을 흔들어 놓으면서 주체의 분열을 가져오고 주체에 대한 재인식이라는 변화가 뒤따르며 차이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기린의 시에서 빛나는 지점은 바로 차이에 대한 일방적 탐색이 아니라 상호주체성이라는 중층적 관계 속에서의 탐구로 보인다. 대상과의 차이를 드러내기 위해 대개는 손쉽게 준거점을 세워놓고 마치 차이를 말하는 것 같지만 사실은 동일화가 이루어지는 데 비해 이기린의 차이는 검은 이미지라는 배경 속에 차이 그 자체로서 놓이도록 하고 있다. 세상은 알 수 없는 것으로 가득하고, 완전한 해명은 불가능하다는 것을 받아들여야 무수한 해석을 향해 열려 있을 수 있다는 듯이 말이다.

Marc 보기

시설이용현황
리더 00749nam a2200289 c 4500
TAG IND 내용
001 KMO202202246
005 20221213150321
007 ta
008 221028s2022 ulk 000 p kor
020 9791189898793 03810: \12000
035 (144021)KMO202220732 UB20220399779
040 144021 144021 011001 148038
056 811.7 26
090 811.7 이18겨
245 00 겨울이 복도처럼 길어서 : 이기린 시집 / 이기린 지음
260 서울 : b, 2022
300 142 p. ; 20 cm
490 10 b판시선 ; 052
536 2020년도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아르코문학창작기금지원사업에 선정되어 발간되었음
650 8 한국 현대시
653 겨울 복도 길어 이기린 시집 B판시
700 1 이기린
830 0 b판시선 ; 052
900 10 이진희
950 0 \12000
049 0 EM00001003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