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상세페이지

KDC : 325.1
도서 사고 싶게 만드는 것들 : 고객의 오감을 만족시키는 미학 비즈니스의 힘
marc 보기

소장정보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신청
HM0000072723 충무 종합자료실 대출가능 - 예약불가 상호대차

상세정보

사라고 말하지 않는다 단지 사게 만들 뿐이다 브랜드 로고, 포장 재질, 매장 냄새, 제품 촉감까지 소비자의 오감을 자극하는 미학 비즈니스의 힘 ☆ 루이비통 모에 헤네시(LVMH) 북미 회장 역임 ☆ ☆ 하버드 경영대학원, 컬럼비아 경영대학원 강의 ☆ 사랑받는 제품은 소비자와 감정적으로 특별한 유대감을 맺고 있다. 사람들이 립스틱이 아니라 ‘샤넬’을 바르고, 운동화가 아니라 ‘나이키’를 신는 이유다. 사라고 말하지 않아도, 굳이 그 브랜드를 사게 만드는 힘은 무엇일까? 샤넬 립스틱이 발림성이 좋고 색감이 아름다우니까, 나이키 운동화가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되어 편하기 때문일까? 세계 최고의 명품 브랜드들을 보유한 LVMH 북미 회장을 역임한 폴린 브라운은 단언컨대 ‘아니다’라고 답한다. 샤넬이라고 특별히 엄청난 원료를 사용하는 것도 아니고, 세상에 없는 빨간색을 만들어내는 것도 아니다. 물론 성능도 중요하지만 품질 때문에 제품을 구매하는 소비자는 15%에 불과하다. 달리 말하면 85%의 소비자가 성능이 아닌 ‘다른 무언가’ 때문에 제품을 구매한다는 것이다. 폴린은 바로 이 ‘다른 무언가’가 ‘미학’이라 말한다. 그리고 독자적인 미학을 갖추지 못하는 브랜드는 결코 살아남을 수 없다고 말한다. 여기서 말하는 미학은 단순히 시각적 디자인만 뜻하지 않는다. 소비자의 오감을 자극하는 모든 경험이 제품의 미학과 관련 있다. 매장이나 홈페이지를 방문하고, 포장을 뜯고, 냄새를 맡고, 촉감을 느끼는 것을 넘어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해 회상하거나 상상하는 것까지 미학의 영역이다. 이 책은 브랜딩 분야 최고의 자리까지 오른 저자의 미학 비즈니스에 대한 하버드 경영대학원 강의를 정리한 책으로 애플, 샤넬, 스타벅스, 조말 론과 같은 전통적 브랜드부터 카인드, 큅, 예티, 에버레인 등의 신진 브랜드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브랜드들의 성공과 실패 뒤에 숨은 ‘미학 비즈니스’를 소개한다. “성공적인 리더들과 혁신가들은 자신이 속한 분야 너머를 바라보는 일 에 능숙하다. 이 책에서 저자는 패션이나 뷰티 분야에서 얻은 중요한 교 훈들을 변형하여 모든 사업 유형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준다.” _ 월터 아이작슨,《코드 브레이커》《스티브 잡스》 저자

Marc 보기

시설이용현황
리더 00885nam a2200301 c 4500
TAG IND 내용
001 KMO202202951
005 20220705191535
007 ta
008 220520s2022 ulk 000a kor
020 9791165799502 03320: \19000
035 (111010)KMO202203956 UB20220159378
040 111010 111010 148238
041 1 kor eng
056 325.1 26
090 325.1 브292사
245 00 사고 싶게 만드는 것들: 고객의 오감을 만족시키는 미학 비즈니스의 힘/ 폴린 브라운 지음; 진주 K. 가디너 옮김
246 19 Aesthetic Intelligence: How to Boost It and Use It in Business and Beyond
260 서울: 알키, 2022
300 295 p.; 23 cm
500 원저자명 : Pauline Brown
546 영어 원작을 한국어로 번역함
653 미학 브랜드 감각 재해석 샤넬 소비나 마케팅 고객전략
700 1 Brown, Pauline 진주 K. 가디너
740 02 고객의 오감을 만족시키는 미학 비즈니스의 힘
950 0 \19000
049 0 HM00000727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