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상세페이지

KDC : 331.4
도서 제3의 장소 : 작은 카페, 서점, 동네 술집까지 삶을 떠받치는 어울림의 장소를 복원하기
marc 보기

소장정보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신청
SM0000089947 시립 종합자료실 대출가능 - 예약불가 상호대차

상세정보

제3의 장소가 우리에게 던지는 메시지! 사회학자, 기업가, 도시계획가 등은 물론 도시 거주민에게 영감을 주었고, 도시사회학의 중요한 저작으로 자리 잡은 미국의 사회학자 레이 올든버그의 10년 연구가 담긴 도시사회학의 결정판 『제3의 장소』. 제1의 장소인 가정, 제2의 장소인 일터 혹은 학교에 이어 목적 없이 다양한 사람들이 어울리는 제3의 장소의 중요성을 사회학적으로 분석한 책으로, 발간 이후 여러 분야에서 도시 환경과 거주민의 삶의 관계를 활발하게 분석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저자에 따르면 제3의 장소는 지역사회를 구축하는 기능을 한다. 사람은 가정이나 일터에서 주어지는 사회적 역할만으로는 본연의 욕구를 충족할 수 없고, 그래서 끊임없이 가정과 학교, 또는 일터 밖에서 다른 교류 활동을 추구한다. 저자는 이를 비공식적 공공생활이라고 칭하고, 여기에 필수적인 요소인 공간을 제3의 장소라는 개념으로 정리했다. 삶의 중요한 요소이면서도 이용자는 거의 의식하지는 못했던 장소의 사회적 가치를 발굴해냈다는 데 중요한 의미가 있다. 이 책은 3개의 부와 14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1부는 이상적이고 전형적이라 할 수 있는 비공식적 공공생활의 상과 어떤 장소가 제3의 장소로서 기능할 수 있는지 조건 및 특징을 담는 데 할애했다. 2부에서는 비공식적인 모임이 이루어지는 제3의 장소가 어떤 특징을 갖고 있는지, 개인과 사회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다룬다. 3부는 비공식적인 공공생활과 관련된 몇 가지 쟁점을 다룬다. 이를 통해 주어진 환경에 불편을 느끼고, 개인에게 책임을 떠넘기는 사회를 거부하는 시민 자신에게 제3의 장소를 회복할 가능성이 있음을 일깨워준다.

Marc 보기

시설이용현황
리더 01130nam a2200373 c 4500
TAG IND 내용
001 KMO202202647
005 20220525202129
007 ta
008 190809s2019 ulk 001 kor
020 9791161727448 03300: \26000
035 (141011)KMO201905637 UB20190161046
040 141011 141011 148100
041 1 kor eng
056 331.4 26
090 331.4 27
245 00 제3의 장소 : 작은 카페, 서점, 동네 술집까지 삶을 떠받치는 어울림의 장소를 복원하기 / 레이 올든버그 지음 ; 김보영 옮김
246 19 Great good place : cafés, coffee shops, bookstores, bars, hair salons, and other hangouts at the heart of a community
260 서울: 풀빛, 2019
300 463 p. ; 23 cm
500 원저자명: Ray Oldenburg
504 참고문헌(p. 449-458)과 색인(p. 459-463) 수록
546 영어 원작을 한국어로 번역
650 8 도시 사회학 공동체 여가 공공 장소
653 제3 장소 작 카페 서점 동네 술집 삶 떠받 어울림 복원하기 도시 사회학 공동체 여가 공공 장소 제삼의
700 1 Oldenburg, Ray 김보영
900 10 올든버그, 레이
940 0 제삼의 장소
950 0 \26000
049 0 SM00000899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