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상세페이지

KDC : 373.33
도서 제4차 산업혁명과 교육의 미래 :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ICT교육
marc 보기

소장정보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신청
HM0000072112 충무 종합자료실 대출가능 - 예약불가 상호대차

상세정보

1장 ‘제4차 산업혁명에 따른 사회 변화’에서는 제4차 산업혁명에 의해 노동시장이 어떻게 변화해가고 있는지, 앞으로는 또 어떻게 달라질 것인지, 모든 정보를 집약·축적하는 빅데이터와 IT 산업의 급성장이 교육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다룬다. 2장 ‘코로나19 팬데믹과 ICT 교육’에서는 코로나19로 교육이 어떻게 타격을 입고 있는지, 전 세계의 많은 아이들이 휴교로 인해 겪고 있는 배움의 멈춤에 대해, 그리고 원격수업이라는 형태로 공교육에 본격 진출한 IT 산업의 상황에 대해 설명한다. 3장 ‘거대화하는 글로벌 교육시장’에서는 ICT 교육이 확대되면서 교육시장이 빅 비즈니스로 변모해가는 모습, 나아가 교육기업·IT 산업·공익재단·국제기관이 글로벌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날로 거대해지고 있는 상황을, 데이터를 근거로 자세히 설명하며 그 폐해를 지적한다. 4장 ‘인재=인적자본’의 변화에서는 ‘인재’라는 말의 개념과 이것이 어떻게 변용되어 왔는지를 개괄하고, 아이들을 ‘시장에서 상품으로 기능하도록’ 하는 사고방식의 문제점을 지적한다. 또 현재, IT 산업과 교육산업의 글로벌 네트워크가 타깃으로 하는 아이들이 빈곤층, 저학력 아이들에 집중되어 있다는 사실을 밝힌다. 5장 ‘ICT 교육의 현재와 미래’에서는 통계와 자료들을 근거로 ICT 교육을 통한 배움이 기대하고 있는 만큼의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는 현실을 알리며, ‘배움의 도구(사고와 탐구와 협동의 도구)’로서 컴퓨터를 활용한 ICT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과 컴퓨터는 교사를 대체할 수 없다는 사실을 강조한다. 6장 ‘배움의 혁신’에서는 미래의 노동자는 ‘계속 배우는 노동자’여야 한다는 것, 그리고 ‘배움의 혁신’의 키워드로서 ‘창조성’, ‘탐구’, ‘협동’을 제시한다. 특히 교사의 일은 지적이고 문화적인 노동이므로 사회와 산업의 격동기에는 더욱 보통의 노동자 이상으로 학습할 시간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7장 ‘개혁의 전망’에서는 세계경제포럼이 제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는 ‘배움의 혁신’으로 내놓은 여덟 가지 중점 과제를 제시하고, 교육의 공공성을 지키기 위해서는 교육기업과 IT 기업의 공교육에 대한 일방적인 참여와 영리사업을 허용할 것이 아니라, 학교의 자율성에 따라 함께 연대하는 교육의 공공권을 창출해야 한다고 이야기한다.

Marc 보기

시설이용현황
리더 01098nam a2200373 c 4500
TAG IND 내용
001 KMO202201940
005 20220519102924
007 ta
008 220211s2022 ulkad 000 kor
020 9791191724080 13370: \12000
035 UB20220052301
040 011001 011001 148238
041 1 kor jpn
052 01 373.33 22-4
056 373.33 26
082 01 371.334 223
090 373.33 사885제
240 202200131 第四次産業革命と教育の未来. 한국어.
245 00 제4차 산업혁명과 교육의 미래 :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ICT교육 / 사토 마나부 지음 ; 손우정 옮김
246 19 第四次産業革命と教育の未来 : ポストコロナ時代のICT教育
260 서울 : 교육과실천, 2022
300 99 p. : 삽화, 도표 ; 22 cm
500 원저자명: 左藤學 ICT는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의 약어임
504 참고문헌 수록
546 일본어 원작을 한국어로 번역
650 8 정보 통신 기술 활용 교육 포스트 코로나
653 제4차 산업혁명 교육 미래 포스트 코 시대 ICT교육 제사차산업혁명と교육の미래
700 1 사토 마나부, 1951- 손우정, 1962-
900 10 좌등학, 1951-, 左藤學
950 0 \12000
049 0 HM0000072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