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상세페이지

KDC : 330.911
도서 치의 상상력 : 질병과 장애, 그 경계를 살아가는 청년의 한국 사회 관찰기
marc 보기

소장정보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신청
SM0000084963 시립 종합자료실 대출가능 - 예약불가 상호대차

상세정보

질병과 장애, 청춘과 나이듦, 정상과 비정상 이분법의 폭력을 깨부수는 새로운 경계인의 탄생! 『난치의 상상력』은 크론병으로 투병 중인 20대 청년이 써내려간 ‘청춘 고발기’이자 아픈 몸을 대하는 한국 사회의 모순을 비판한 날카로운 보고서다. 저자의 몸은 청춘과 나이듦, 질병과 장애, 정상과 비정상이 교차하는 전쟁터다. 사람들은 아파 보이지 않는다는 이유로 저자를 의심하며 장애인 옆에서는 ‘비장애인’으로, 비장애인 옆에서는 ‘장애인’으로 대했다. 겉으론 건강한 20대 청춘이지만 정작 저자의 몸은 늙고 나이든 노인의 몸을 닮았다. 청춘이지만 청춘이 아니고, 장애도 비장애도 아닌 몸, 멀쩡한 면역 수치를 억지로 낮춰야 하는 비정상의 몸. 이 책은 사회가 정의한 어느 곳에도 들어맞지 않는 바로 그 몸에서 비롯했다. 저자는 “아파도 청춘이다”라는 윗세대의 게으른 충고를 일갈하는 것을 넘어 “그런 청년은 없다”고 말하며 경계 자체를 부숴버린다. 질병과 장애를 없애야 할 것, 어서 빨리 교정해야 할 것으로 다루는 한국 사회의 폭력을 거침없이 비판한다. 이 책은 사회가 규정한 청춘에 맞춰 자신을 무장하는 청년들에게는 가슴 벅찬 해방감을, 아픈 몸에게는 자신의 고통을 언어로 탈바꿈할 수 있다는 새로운 감각을, 건강한 이에게는 아픔과 공존하는 또 다른 세계를 상상하게 한다. 스물여섯, 첫 책이라고는 믿을 수 없을 만큼 밀도 높은 성찰과 막힘없는 사유를 보여주는 완성형 작가의 탄생! 저자만의 사유의 파동, 성찰의 맥박을 함께 뛰는 일은 우리가 청춘이라 부르는 것보다 더 격동적인 읽기가 될 것이다.

Marc 보기

시설이용현황
리더 00676nam a2200241 c 4500
TAG IND 내용
001 KMO202102299
005 20210330102531
008 200821s2020 ggka 000a kor
020 9788972979616 03810: \16000
035 (111014)KMO202005180 UB20200532874
040 111014 111014 148100
056 330.911 26
090 330.911 26
245 00 난치의 상상력 : 질병과 장애, 그 경계를 살아가는 청년의 한국 사회 관찰기 / 안희제 지음
260 파주 : 동녘, 2020
300 339 p. : 삽화 ; 21 cm
504 참고문헌 수록
653 난치 상상력 질병 장애 경계 청년 한국 사회 관찰기
700 1 안희제
740 02 질병과 장애, 그 경계를 살아가는 청년의 한국 사회 관찰기
950 0 \16000
049 0 SM0000084963